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경남의 마을 아, 본향! (21) 산청군 단성면 남사마을

돌담길 따라 700년 시간의 숨결 담긴 전통마을
수많은 선비들 과거급제한 학문의 고장

  • 기사입력 : 2013-07-16 01:00:00
  •   
  • 산청군 단성면 남사리 남사예담촌 입구 돌담길. 담쟁이덩굴이 무성하다.
    이씨고가 골목길에 있는 300년생 회화나무 두 그루.
    남사천과 산책로.
    한말 유학자 정제용을 추모하기 위해 지은 사양정사.



    산청에는 지리산의 기상만큼이나 격조 높은 곳이 있다. 남사예담촌이 그곳. 단성면 남사리의 남사마을은 지난 2003년 농촌전통테마마을로 선정되면서 그 이름을 ‘남사예담촌’으로 바꿨다. ‘예담촌’이란 ‘옛 담 마을’이란 뜻이다. 오랜 세월 전통과 예를 중시하고 묵묵히 지켜온 선비들의 기상과 예절을 닮아가자는 의미도 함께 지닌다. 한옥 수십 채가 사이좋게 앞뒤로 동무 삼아 마을을 지키고 있다. 돌담과 토담이 아름다운 남사예담촌은 고즈넉한 담장 너머로 한옥의 단아함과 시골 사람들의 넉넉한 정이 넘쳐나는 700년 역사의 전통마을이다. 구불구불한 곡선이 아름다운 돌담길에 들어서면 마을 역사와 함께한 고목들이 옛 정취를 더한다. 문화재로 지정된 남사마을의 돌담길은 약 3.2㎞로 골목마다 저마다의 특징을 자랑한다. 남사마을은 지난해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을 연합회(한아연)’가 ‘아름다운 마을 1호’로 선정됐다.



    ◆남사마을의 역사

    남사마을은 니구산(공자의 고향인 곡부의 산 이름에서 따온 산 이름)이 마을을 둘러싸고 사수가 마을을 감싸고 돌아나간다. 산과 물길이 만들어 놓은 마을은 반달 모양이다. 그래서 옛날부터 마을 한가운데를 빈터로 남겨두고 있는데, 마을의 운세가 보름달이 돼 다시 기울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이곳은 천왕봉에서 일백여 리 흘러와서 우뚝 멈춘 수려한 봉우리 니구산 아래를 휘감아 흐르는 남사천과 넓은 들, 울창한 숲이 주위를 둘러친 천혜적 자연 승지(勝地)다.

    ‘예담촌’은 오랜 세월을 묵묵히 지켜온 옛 담의 신비로움과 전통, 예를 중요시하는 이 마을의 단정한 마음가짐을 담아가자는 의미에서 지어진 이름이다.

    마을은 당산이 수컷 용의 머리이고 니구산이 암컷 용의 머리가 돼 서로 머리와 꼬리를 무는 형상인 쌍룡교구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반달 모양의 마을 터를 배 모양으로 생각하여 마을의 중심부에는 그 무엇도 채우지도 않고 우물 파는 것도 금하여 왔다고 한다.

    남사마을은 수많은 선비들이 태어나 서당에서 공부한 많은 사람들이 과거에 급제하여 가문을 빛내던 학문의 고장으로, 공자가 탄생하였던 니구산과 사수를 이곳 지명에 비유할 만큼 예로부터 학문을 숭상하는 마을로 유명하다. 그 이름의 변용은 사양정사, 니사재, 이동서당 등의 서재 명칭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왕비를 배출하고 고려 말 문인 강회백과 조선 세종 당시 영의정을 지낸 하연 등이 이 마을에서 태어났다. 100가구가 넘게 사는 이 마을에는 목조한옥과 전통한옥 등에서 사람이 아직 살고 있다. 민속촌처럼 그냥 꾸며 놓은 한옥이 아니라 시골 생활이 고스란히 배어 오랜 삶의 윤기가 배어 있다는 얘기다.

    ◆충무공 이순신이 백의종군 길에 묵었던 곳

    난중일기에 ‘백의종군’하는 이순신 장군의 행로가 나와 있다. 이순신 장군은 1597년 6월 1일 하동군 옥종면 정수리에서 출발하여 오후 늦게 산청의 단성면 사월리 박효원 종의 집에서 유숙했다. 종의 집 헛간에서 빈대에 물려가며 잠을 설치면서도 구국의 일념으로 백의종군 길에 오른 이순신 장군은 날이 새자 길을 재촉하여 6월 2일 늦은 아침에 단계천(현재 산청 단계마을)가에 도착하고 이곳에서 아침을 먹었다. 이후 삼가를 거쳐 권율 장군의 진영에 도착했다.

    그곳에서 46일간 머물다가 칠천량 해전의 참패 소식을 듣고 나서 권율 장군의 말에 따라 남해의 전세를 살피기 위해 7월 18일 삼가현을 거쳐 7월 19일에 단계천변을 지나 지금의 신안면 백마산성에 올라가서 지세를 살피고 단성현에서 하룻밤 유숙했다.

    ◆남사마을 고택

    투박하면서도 곡선이 아름다운 골목은 사양정사 진입로. 담장을 수놓은 담쟁이덩굴을 따라 들어가면 정씨 집안의 문중회의장 겸 서당 역할을 한 사양정사가 나온다.

    사양정사는 한말의 유학자 정제용의 아들 정덕영과 장손 정정화가 남사로 이전한 선친을 추모하기 위해 마련한 정사로 1920년대에 지어졌다. 사양정사란 남쪽의 학문을 연마하는 집이라는 뜻으로 남사마을 뒤에 있는 개울을 사수라 부르고 정사가 개울의 남쪽에 있어 사양정사라 이름했다. 여기서의 ‘사수’는 공자의 고향인 중국 산동성 곡부에 있는 강 이름인데 공자를 흠모하는 뜻이다.

    사양정사의 솟을대문 앞에는 퇴락한 하씨 고택의 무너진 담장 너머로 수령 600년이 넘은 감나무 한 그루가 푸른 잎을 뽐내며 서있다. 하씨고택에는 원정공이 살던 옛집이라는 의미로 대원군이 직접 쓴 ‘원정구려(元正舊廬)’ 당호가 걸려 있다. 집 뒤뜰에는 원정공의 후손으로 조선시대 영의정을 지낸 문정공 하연(1376~1453)이 7세 때 심었다는 감나무 한 그루가 뿌리를 내리고 있다. 감나무의 수령은 630여 년으로 가을이 되면 감이 주렁주렁 열린다.

    남사예담촌의 상징이며, 남사마을에서 가장 오래된 집인 이씨고가는 1700년대 목조건물이다. 남북으로 긴 대지에 안채와 사랑채, 외양간채(익랑채)와 곳간채가 안채를 중심으로 ‘ㅁ’자형으로 배치돼 있다. 이씨고가의 시조는 태조 이성계의 사위인 이재의 손자. 왕실과의 인연으로 인해 인조 때 궁궐 짓는 목수가 내려와 직접 이씨고가를 지었다고 한다.

    남사예담촌을 찾는 사람들이 가장 먼저 찾게 되는 이씨고가 골목길에는 X자 모양으로 굽은 300년생 회화나무 두 그루가 있다. 허리 높이의 밑동까지 푸른 이끼에 뒤덮인 회화나무는 본래 화기를 막기 위해 심었는데 미군 폭격으로 마을이 불바다가 될 때도 이씨고가는 멀쩡하게 남아 그 신비함을 더했다고 한다. 또한 나무 밑을 부부가 함께 지나가면 금실 좋게 백년해로한다는 설이 전해져 내려온다.

    남사마을 중앙에 자리 잡은 가장 큰 집인 최씨고택은 안채와 외양간채, 사랑채가 안채를 중심으로 ‘ㅁ’자형 평면을 갖추고 있으며 1930년대 지은 집이다. 안채는 앞면 6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뒤쪽 툇마루의 폭이 커서 각 방 뒤편으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벽장을 두었다. 부엌과 건넌방 뒤에는 따로 방을 만들었다.

    사대부집의 화려한 모양새를 하고 있지만 위생적인 2층 뒷간 등 실용적인 구조로 지어져 조상들의 지혜를 만날 수 있다. 또한 남녀 사용공간을 나누어 공간의 독립성을 부여한 뛰어난 배치로 사대부가의 유교적 전통을 엿볼 수 있는 집이다.


    ◆농촌전통테마마을 체험

    농촌전통테마마을로 지정된 남사예담촌에서는 계절별로 여러 가지 전통 체험을 즐길 수 있다.

    물레방아를 이용해 곡식을 빻았던 옛날을 체험해 보고 떡을 만들어 보는 전통물레방앗간 체험은 아이들에게 인기가 많다.

    돌무더기에 불을 지펴 감자나 고구마를 익혀 먹는 삼곶놀이, 심기만 하면 그 집안에 훌륭한 인재가 난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 회화나무의 열매를 이용한 천연염색 체험, 풍물 캠프당 체험도 좋은 추억거리다.

    훈장 선생님이 있는 예절학교에서 천자문 공부와 가훈 쓰기 시간을 통해 차분한 마음가짐에 대해 한 번쯤 생각해 보게 한다. 양봉을 이용한 내 꿀벌 갖기와 딸기 심기 및 수확, 곶감 만들기는 농심을 느낄 수 있다.

    재실인 사양정사와, 최씨고가 등에서 숙박을 하는 고택 체험은 컴퓨터도 없고 TV도 없는 조용한 별빛 아래 사대부 고택의 고즈넉함을 느끼게 한다.

    글= 김윤식 기자·/사진=산청군 제공/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윤식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