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5일 (목)
전체메뉴

[경제인칼럼] 북한산림 복구는 민족적 과제다- 이판수(산림조합중앙회 경남지역본부장)

  • 기사입력 : 2014-12-29 11:00:00
  •   
  • 메인이미지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을 거치면서 숲이 파괴될 수 있는 만큼 파괴됐다. 1960~70년대부터 남한은 나무를 심어 복구를 시작한 반면, 북한은 전 국토면적 1200ha의 약 80% 이상이 산림으로 1980년대까지 비교적 울창한 상태를 유지했다. 그러나 1990년 중후반 ‘고난의 행군’ 시기 이후부터 황폐화돼 899만ha의 산림면적 중 약 284만ha가 황폐화됐다고 보고된다.

    북한의 산림황폐 면적의 정확성을 떠나 일부 교통이 불편한 압록강과 두만강 지역을 제외하고는 심각한 수준으로 줄었다는 것은 사실이다. 북한의 산림이 급속히 황폐화하는 원인으로는 경제난·식량난으로 인한 다락밭이나 비탈 산지의 무분별한 개발, 에너지난으로 인한 연료의 이용, 외화벌이를 위한 과도한 벌채, 병충해와 산불, 가뭄과 홍수 등 자연재해로 인한 산림의 파괴 등을 꼽을 수 있다.

    국제사회는 북한 정부와 양자협의체, 국제기구, 비정부기구 등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북한을 지원하고 있는데 대체로 긴급구호 성격의 식량 지원이나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지원, 취약계층에 대한 보건의료 분야 지원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구조적인 식량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산림복구사업이 필수적이라는 인식 하에 산림분야도 함께 포함시켜 진행됐다.

    북한의 산림이 황폐화돼 산림생태계가 파괴됨으로써 우리가 사는 남한에도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예를 들면 숲의 복구가 늦어질수록 통일 후 복구 비용이 현재보다 엄청나게 증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홍수와 대기오염 등은 남한에도 직접적으로 피해를 끼칠 수 있으며 산림생태계 단절에 따른 백두대간 서식 야생 동식물 등의 생물다양성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북한 황폐산림 복구사업은 남북한의 정치·경제적 논리에 따른 관점으로 보기에는 더 심각한 상황일 수 있다. 열대림이 파괴됨으로써 지구에 끼치는 나쁜 영향들을 보더라도 북한의 산림 황폐화가 북한주민, 더 나아가 남한주민들에게도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동안 대북지원사업은 남북관계의 정치적 및 국민적 관심사에 따라 요동을 치는 편이었다. 현 시점에서 북한과 지속적인 조림사업 논의를 위해선 대북 조림지원사업의 독립성이 어느 정도 필요하며 해외 대북지원단체 및 NGO와 연계를 통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단순히 나무를 심는 것만으로 북한 조림을 성공시키기는 어렵다. 북한은 산림이 황폐화돼 단순히 나무만 심을 경우 성공 확률이 낮고 비가 오면 쓸려 내려갈 수도 있다. 단순한 양묘와 조림뿐만 아니라 산지의 침식을 예방할 수 있는 사방사업도 이뤄져야 조림의 성공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현재 북한이 추진 중인 혼농임업의 형태도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 이것은 동일한 토지에서 나무, 농작물, 가축을 지속·단기적으로 결합한 토지이용 형태로 산림녹화와 주민의 소득을 동시에 올릴 수 있는 방법이다. 지난 2003년부터 시범사업으로 추진 중에 있어 산림복구의 대안으로 대두될 수도 있다.

    혼농임업 형태든 조림사업이든 북한의 황폐한 산지를 복구해야 한다는 목표에는 이견이 없다. 남북한 통일은 우리 민족의 소원이다. 정치적이나 경제적인 통일을 지향하는 것이 우선일 수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황폐해지는 북한의 산과 들을 푸르고 울창하게 복구하려는 노력이 민족의 막중한 과제다.

    이판수 산림조합중앙회 경남지역본부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