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0일 (토)
전체메뉴

일본인이 바라본 중국의 민낯

■ 질주하는 중국 (중국 문제, 어떻게 볼 것인가?)
저자 무역맨·주중대사 활동
대국으로 성장한 중국의 인구·경제·외교 문제 다뤄

  • 기사입력 : 2015-02-27 07:00:00
  •   
  • 메인이미지


    2013년 12월 미국의 조 바이든 부통령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다. 박근혜 대통령을 만나 의미심장한 말을 했다. “미국은 한국에 베팅한다. 미국의 반대편에 베팅하는 것은 좋은 베팅이 아니다”고 했다. 바이든 부통령은 또 “미국은 행동으로 옮기지 않을 말은 절대로 하지 않는다”고도 했다. 사실상의 협박성 발언이다. 이를 두고 해석이 분분했지만 결국 한국이 중국과 최근 가까워지고 있는 데 대한 미국의 강한 압박으로 받아들여졌다.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중국. 우리에게 경제적으로는 최대 무역 교역국이자 정치적으로는 체제를 달리하는 두 얼굴을 가진 나라. 기회인 동시에 위협적인 중국을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고, 여기에 대한 대응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 책은 상사맨으로 30년, 주중 일본 대사로 2년 반 동안 중국의 정·재계 일인자들과 교제하며 중국을 빠짐없이 바라본 니와 우이치로가 집필한 ‘중국의 대문제’(2014)의 한국어판이다.

    여러 차례 숙고를 거쳐 한국어판 제목을 ‘질주하는 중국: 중국 문제, 어떻게 볼 것인가?’로 했다. 향후 중국의 대문제가 궁극적으로 발현되는 과정 가운데, 한반도의 견지에서 예측하기 어려운 모습으로 구현돼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 틀림이 없다는 관점에 따른 것이었다. 물론 전적으로 한국의 입장에서 저술했다고 보기보다 일본의 입장과 시각이 반영됐다.

    그는 이 책에서 개혁 개방정책이 기로에 접어들고 있다고 진단한다.

    “시진핑 정권은 현재 52%의 도시화 비율(총인구 가운데 도시 주민 비중)을 2020년까지 60%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을 제시했다. 그렇다면 매년 최저 1400만명이 농촌에서 도시로 유입된다.… 앞으로 10년간 도시화 비율이 상승하면, 도시에 대한 투자액으로 40조위안(약 640조엔)이 필요하다고 한다. 일본의 국내총생산(GDP)을 넘는 액수이다. 중국사회과학원의 계산으로는 2030년까지 농민공 3억9000만명이 도시 주민이 되고, 이에 따른 재정 부담은 중국 국내총생산에 상당하는 51조위안(약 816억엔)에 이른다. 사실상 있을 수 없는 수치이다. 중국의 개혁개방 경제는 기로에 접어들고 있다.” (48~49쪽)

    그는 또 현재 중국 지도부는 북한 김정은 체제 관계에 대해 과거와는 다르다고 말한다.

    “이제까지는 중국이 같은 사회주의 국가로서 북한의 유일한 채널이었다. 상무위원 장더장(張德江)은 북한에서 유학 경험이 있어, 가장 북한 인맥이 있는 인물로 간주되고 있다. 그렇지만 김정일에서 김정은 대(代)로 넘어오며 이 인맥은 끊어진 듯하다. 즉 중국에는 김정은이 중학생 무렵 유럽에 있었다는 사실 말고 다른 것을 알고 있는 자가 없는 것이다. (189쪽)

    중국 인구는 일본의 11배, 자동차 판매 대수는 4배, 맥주 소비량은 8배이다. 중국은 향후 내수 중심 경제로 이행할 것이다. ‘세계의 공장’이 ‘세계의 시장’으로 크게 방향키를 바꾸고 있다.

    한국은 이 상황을 지켜보고만 있어야 하는가? 일본과 마찬가지로 자원이 없는 한국은 해외무역 없이 생존할 수 없다. 우리도 14억명의 중국 시장을 개척하고 충분히 이용해야 한다. 오늘날 중국은 경제력이라는 위력을 등에 업고 미국과 더불어 세계 G2로서의 패권을 드러내고 있다. 이토록 기세등등한 중국이지만, 자세히 보면 그 내실은 수많은 문제에 직면해 있다. 도시와 농촌의 높은 경제 격차, 국유기업의 조잡한 경영 체질, 테러와 폭동이 끊이지 않는 소수민족 문제, 요인들의 부정부패와 부정 축재 등. 중국을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이런 중국 내부의 병든 모습을 똑바로 바라보는 것도 필요하다.

    니와 우이치로 저, 이용빈 역, 한울아카데미 간, 2만2000원

    김용대 기자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