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8일 (목)
전체메뉴

[열린포럼] 희망고문- 정양(우석대 문예창작과 명예교수·시인)

  • 기사입력 : 2015-03-26 07:00:00
  •   
  • 메인이미지

    1930년대에 발표된 홍명희의 미완의 명저 <임꺽정>에는 최영 장군의 사당에 관련된 사연과 거기 송악산 자락에서 펼쳐지는 축제 장면이 홍명희 특유의 된장 냄새 묻은 필치로 자상하게 서술돼 있다. 통나무 모닥불에 통돼지를 굽고 거기 모인 이들이 그 통돼지구이를 몇 점씩 다투어 뜯어먹으면서 씨름도 하고 그네도 뛰고 제기차기도 윷놀이도 한다.

    그렇게 뜯어먹는 통돼지구이를 사람들은 성계육이라고들 했다. 이성계가 돼지띠여서 그렇게 통돼지구이를 만들었단다. 이성계가 닭띠나 개띠였다면 통닭구이나 통개구이가 성계육이 됐을 것이다. 그 성계육 축제는 최영 장군의 억울한 죽음을 기리면서 쿠데타로 고려왕조를 무너뜨린 이성계에 대한 고려 유민들의 원한과 저주와 야유가 질펀하게 번지는 현장이었다.

    관우나 악비 같은 중국 고대사의 비극적 영웅들이 중국 곳곳에 세워진 사당에서 두고두고 중국인들의 기림을 받고 있다고 한다. 고려왕조의 비극적 영웅 최영 장군의 경우 관우나 악비처럼 오늘날까지 이어오지는 않지만 조선왕조 수백 년 동안 그를 기리기 위한 사당이 만들어지고 그의 충정을 섬기는 민심이 그처럼 축제가 되고 민속이 되어 전해졌던 것 같다.

    이른바 최고존엄의 이름을 내세워 성계육을 뜯어먹으며 스트레스를 해소하던 그런 반체제적 민속이 봉건왕조 속에서 어떻게 지속됐던 것인지 돌이켜보면 참으로 믿기 어려운 일이다. 민중적 에너지가 모임직한 일마다 미리 초를 쳐서 희석시키는 정권에 길든 언론 같은 것들이 그 시대에는 물론 없었겠지만, 아무리 그렇더라도 북한식으로는 최고존엄모독죄, 우리식으로는 국가원수모독죄쯤에 해당될 당시의 서슬 퍼렇던 역모죄, 조선왕조의 원죄로 못 박혔기에 오히려 더 사납게 휘둘러대던 그 역모죄를 어찌 감당하면서 백성들은 그렇게 성계육을 뜯었단 말인가.

    누군가를 사랑하거나 좋아하는 것은 경우에 따라 매우 어렵고 조심스러운 일이다. 누군가를 미워하고 비난하는 일은 물론 더 어렵고 조심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누군가를 마음 놓고 비난하고 미워하는 것은 행복하지 않을지는 몰라도 통쾌한 일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 시작은 필시 은밀했겠지만 은밀하게 시작됐을 그 모임이 축제가 되고 민속으로 정착되기까지 숱한 고난과 역경을 겪은 고려의 유민들은 마침내는 조선왕조의 최고존엄 이성계를 맘 놓고 원망하고 비난하고 조롱하면서 다투어 성계육을 뜯어먹는 통쾌함을 맘껏 누렸던 것 같다.

    명예훼손이니 허위사실 유포니 종북이니 불온이니 하는 명목으로 걸핏하면 고소하고 가두고 벌금을 물게 하면서 유신시대로 삐라시대로 서북청년단시대로 역사의 시계가 자꾸 거꾸로만 되감기는 것 같은 일들이 끊이지 않아선지 요즘의 온라인에는 성계육보다 더 험악한 말들이 난무하고 그럴수록 사람들은 희망고문이라는 말을 자주 쓴다. 뭔가를 끈질기게 기다리면서 그 기다림 때문에 두고두고 고통을 감당해야 하는 희망고문, 따지고 보면 조선왕조의 성계육 축제도 오랜 세월을 두고 백성들이 견뎌왔던 희망고문의 결과물일 것이다.

    희망이라는 설렘과 고문이라는 끔찍함이 난폭하게 야합해버린, 절망보다 지긋지긋하고 좌절보다 쓰라리고 체념보다 더 인간존엄이 짓밟히는 게 희망고문이다. 눈 조심 말 조심 귀 조심 심지어 꿈까지 조심하면서 최고존엄을 맘 놓고 저주하고 조롱하고 미워해도 괜찮은 그런 쾌감을 위해서라면 그런 고문쯤은 과연 얼마든지 견딜 만한 것인가. 그 나물에 그 밥, 걸레는 빨아도 걸레, 혹시나 했더니 역시나 같은 말 속에는 그 희망고문에 지친 비아냥들이 민낯으로 깔려 있어 시도때도 없이 들리는 그런 말들이 민망하기 그지없다.

    정 양 (우석대 문예창작과 명예교수·시인)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