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19일 (금)
전체메뉴

영화일기 (7) 현재를 위하여- 미드나잇 인 파리

  • 기사입력 : 2015-06-03 10:53:28
  •   

  • 꼭 필요할 때 휴대폰이 꺼질 때가 있다. 몇 주전 퇴근 후 친구와 만나기로 약속했을 때가 그랬다. 전원이 나가는 순간 난감해졌다. 편의점에 가서 충전을 할까 생각했지만 직전 통화에서 "회사 앞 공원에 있을게"라고 말했기에 그냥 공원에서 기다리기로 했다. 처음엔 괜찮았는데 기다리다보니 점점 초조해졌다. 꺼진 휴대폰을 가만히 두지 못하고 계속 만지작거렸고 몇 번이나 '충전을 해야했는데' 라며 후회했다. 기다리다가 중간에 자리를 뜨지도 못하겠고…. 괜히 가만히 있지 못하고 공원 주변을 돌아다녔다.

    15분쯤 지났을까. 공원 앞을 스쳐지나가는 차가 친구의 차인 것 같아 종종 거리며 따라갔는데 아니었다. 왔던 길을 되돌아가는데 멀리서 까만 실루엣과 함께 친구의 목소리가 들렸다. "넌 왜 전화를 꺼놨어" "갑자기 꺼졌어. 그래도 뭐 만났네"
     
    친구와 수다를 떨며 가는 동안 문득 휴대폰도 없이 누군가를 만났다는 사실이 상당히 낭만적으로 느껴졌다. 친구를 기다리는 시간동안 초조해 하던 것도 다 잊어버렸다. 심지어 누군가와 만나려고 휴대폰에 얽매일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대충 시간, 장소만 정해놓고 기다리고 그런 게 약속의 묘미지' 카카오톡으로 1분 마다 '언제오냐'고 독촉하던 것이 그렇게 팍팍하게 느껴질 수가 없었다.
    문득 휴대폰이 없던 시대가 그리워졌다. '아, 아날로그 시대가 좋았지'


    나는 80년대 후반에 태어났다. 아주 어렸을 때부터 휴대폰을 쓰고 자란 세대는 아니지만 내가 중학생일 때 반에서 절반 이상은 휴대폰을 갖고 있었다. 고등학교 때는 거의 모든 친구들이 휴대폰을 갖고 있었다.(고3때 우리 반에서 휴대폰이 없는 사람은 나를 포함해 3명 뿐이었다.) 그렇기에 휴대폰이 없던 시대의 감수성은 잘 모른다. 70년대나 80년대의 이야기는 텔레비전이나 영화에서 간접적으로 접하거나 더 이른 세대(이른바 7080세대)들에게 풍문으로 들었을 뿐이다. 미디어나 이전 세대들이 말하는 그 시대는 낭만과 예술의 시대였다.

    다방에서 DJ가 음악을 틀어주고 서로 손편지를 주고 받던 시절. 박완서와 황석영, 신경림, 조세희 등 유명한 문학가들이 한창 대표작을 내놓던 시절이고 조용필과 이문세 등 지금도 사랑받는 음악가들이 대표곡을 쏟아내던 시절. 교과서에 나오는 '명작'들과 지금도 리메이크 되는 '명곡'들이 가득하던 시절. 좀 더 빨리 태어났다면 그 시대의 '낭만과 촉촉함'이 있는 삶을 맛볼 수 있었을까.
    메인이미지
    가구샵에 들린 길과 이네즈. 그의 장모는 18000달러짜리 나무탁자가 비싸다고 생각하는 길에게 '싸구려라 보는 눈이 그렇다'며 그를 무시한다.
    2000년대를 살고 있는 길은 이전 시대의 '낭만과 촉촉함'를 동경하는 남자다. '향수(鄕愁)'를 주제로 소설을 쓰고 있는 그는 약혼녀와 파리로 여행을 왔다가 파리의 감성에 푹 빠진다. 하지만 약혼녀 이네즈는 그의 감수성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 길은 파리의 거리를 걷고 싶어하지만 이네즈는 다리가 아프다며 항상 차를 타고 이동한다. 그녀는 심지어 그런 그를 '나사 빠진 사람'으로 치부한다.
    메인이미지
    길은 이네즈가 바람을 피웠다며 의심한다. 그는 '나는 속여도 헤밍웨이는 못 속인다'며 그녀를 몰아붙이고 결국 자백을 받아낸다.
    밥을 먹을 때도 미술관에 가서 그림을 볼 때도, 와인을 마실 때도 길과 이네즈는 사사건건 대립한다. 약혼녀와의 트러블, 잘난 척 하는 그녀의 지인, 명품에만 관심 있는 장모…. 팍팍한 현실에 진절머리가 난 길은 혼자 밤거리를 걸어다니다 길을 잃는다. 이윽고 밤 12시를 알리는 종소리가 울리고 갑자기 그의 앞에는 클래식 푸조가 한 대 등장한다. 푸조에 올라탄 길은 1920년대의 파리와 만나게 된다.
    메인이미지
    길을 시간여행으로 안내하는 클래식 푸조.
    그는 매일 밤 클래식 푸조를 타고 피츠제럴드, 헤밍웨이, 피카소, 스타인, 달리 등 최고의 예술가들과 술을 마시며 대화를 나눈다. 꿈꾸던 시대, 동경하던 예술가들. 그는 갑갑한 현실 속 매일 밤의 꿈같은 시간여행에 큰 행복을 느낀다. 어느날 밤, 그는 피카소 등 여러 예술가들의 뮤즈가 된 여인 아드리아나를 보고 첫눈에 반한다.  
    메인이미지
    밤 산책을 하는 길과 아드리아나. 그들은 마차를 타고 함께 1910년대로 가게 된다.
    행복하기만 하던 길의 시간여행은 아드리아나와 밤길을 산책하던 날에 전환점을 맞는다. 산책을 하던 중 갑자기 나타난 마차를 탄 그와 그녀는 '벨 에포크'라 불리던 1910년대의 한 무도회장으로 가게된다.

    메인이미지
    길이 시간여행에서 가장 처음으로 만난 사람인 스콧과 젤다 피츠제럴드.
    늘 벨 에포크 시대를 꿈꿔왔던 아드리아나는 기뻐하지만 정작 그 시대를 살아가던 예술가인 드가는 이렇게 말한다 "이 시대는 텅 비었고 상상력이 없어. 르네상스 시대가 좋았지" 드가의 불평에도 아드리아나는 길에게 다시 20년대로 돌아가지 말고 여기서 살자고 말한다. 길은 반문한다. "피카소와 헤밍웨이와 피츠제럴드가 있는데도요? 그들은 최고의 예술가들이죠" "그건 현재잖아요. 현재는…지루해요" 순간 길은 '황금시대'의 환상에서 벗어난다. 그는 그녀에게 말한다. "당신이 여기 머물고 이 시대가 당신의 현재가 된다면 얼마 못가서 다른 시대를 꿈꾸게 될 거에요"

    메인이미지
    비오는 파리를 좋아하는 여인과 함께 빗속을 걸어가는 길.
    많은 사람들이 과거로의 여행을 꿈꾼다. 현재를 좋아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길의 말처럼 현재는 불만스럽다. 인생이란 게 원래 좀 불만스러우니까. 내가 사는 현재도 그렇다. 모든 것이 경쟁구도인데다 돈이 최고의 지위를 가졌으며 사람들은 하루 종일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면서 산다. 바쁘고 여유도 없고 삭막하다.

    과거에 살았다면 더 행복했을거라는 환상은 현재의 불만에서 온다. 책에서, 혹은 텔레비전에서의 낭만적 재현을 보고, 휴대폰이 없이 누군가를 만났다는 일회성 경험만으로 과거를 그리워한다. 하지만 꿈꾸던 '황금시대'도 현재가 된다면 지루해질 뿐이다. 설령 피카소나 헤밍웨이가 옆에 있다고 해도.?

    지루하고 불만족스럽지만 지금 이 순간을 열심히 살아야 한다는 것. 간단하지만 언제나 놓치게 되는 사소한 진리다. 그래도 이따금씩 현재가 싫어질 때는 다양한 종류의 치킨이나 맥주를 고르는 행복한 고민을 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그 정도의 행복이라면 현재를 조금은 더 사랑할 수 있지 않을까.

    09-6.jpg

    <간단영화소개>

    우디앨런 감독의 2011년 작품. 국내 개봉은 2012년. 도입부에 길게 보여주는 현재의 파리도, 이야기 속 과거의 파리도 모두 매력적인 파리 예찬작. 시간여행에서 등장하는 예술가들을 미리 안다면 더 큰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스콧&젤다 피츠제럴드, 파블로 피카소, 어네스트 헤밍웨이, 거트루드 스타인, 장 콕토, 만 레이, 툴루즈 로트렉 등)

    타임머신 역할을 하는 '클래식 푸조'가 영화의 마스코트.

    김세정 기자 (편집부)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세정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