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3일 (화)
전체메뉴

[초점] 광복 70주년… 주인 찾지 못한 훈포장 약 5000개

순국으로 후손이 없거나 찾기도 힘들어
정부 서훈 훈포장 3분의 1 미전수
도내에선 창원 13명 등 55명 달해

  • 기사입력 : 2015-07-22 07:00:00
  •   
  • “독립유공자 후손? 대분분이 일제 탄압을 피해 뿔뿔이 흩어져 절멸했지. 살아남은 대다수는 제대로 못 배우고 막일, 허드렛일 하며 살지. 먹고살기 바쁜데 훈장 같은데 관심이 있나.”

    ‘나라에서 훈장을 줬는데도 왜 가져 가지 않은 후손들이 많으냐’는 기자의 질문에 한 독립유공자 유족이 던진 일갈이다.

    정부가 독립운동 유공자에게 서훈한 훈장과 표창 상당수가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보훈처에 따르면 1949년부터 2015년 7월 현재까지 독립유공자로 인정돼 훈포장을 받은 이는 건국훈장 1만256명, 건국포장 1091명, 대통령 표창 2593명 등 모두 1만3940명이다.

    하지만 이 중 3분의 1에 이르는 4930명에 추서된 훈포장이 후손에게 전해지지 못하고 국가보훈처에 그대로 보관돼 있다.

    후손이 찾아가지 않는 데다 매해 3·1절, 광복절마다 새롭게 유공자가 늘어나면서 2005년 2446명이던 미전수 훈포장자는 10년 사이 2배 이상 늘었다.

    이들 4930명 중 북한에 본적을 둔 경우가 2048명, 제적부 멸실로 전수가 불가한 경우가 228명, 본적 미상이 1867명으로 파악됐고 현재포지 본적이 확인됐지만 후손을 찾지 못한 경우가 787명에 달한다.

    이 중 도내에 본적을 두고 후손을 찾고 있는 미전수 훈포장자는 창원 13명, 울산(양산) 6명 등 모두 55명이다.

    훈장 전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이유는 유공자 포상 대부분이 ‘유족 신청’이 아닌 ‘발굴조사’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정부로부터 훈장 등 포상을 받은 독립유공자의 90%가량은 보훈처의 발굴조사에 의해 결정된다. 발굴조사를 통해 재판기록 등 증빙자료가 발견돼 포상은 이뤄졌지만 이후 후손을 찾는 과정이 쉽지 않다는 것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순국선열 대부분이 20대 젊은 나이에 독립운동에 뛰어들어 후손 없이 순국하거나 만주 등 해외에서 비밀리에 독립운동을 벌여 남아있는 기록이 거의 없고, 유족이 있더라도 북한 등 국외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창원보훈지청 관계자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훈장 미전수 독립유공자 후손 찾기 운동’을 통해 도내 지자체별로 미전수 훈포장자의 본적을 의뢰해 대조하고 있지만 기록에 남은 옛 지명과 현재 지명이 다르고, 이후 6·25전쟁 등을 겪으며 형무소 기록과 호적 등 다수가 멸실돼 후손 찾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고 말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후손이 생존해 있어도 선대의 유공 사실 자체를 모르는 경우도 있다는 사실이다.

    (사)독립유공자유족회 관계자는 “후손들이 일제 탄압을 피해 성(姓)과 이름을 바꾸고 신분을 숨긴 채 뿔뿔이 흩어져 말 그대로 집안이 풍비박산이 난 경우가 많고, 일제에 의해 철두철미하게 독립운동 기록이 삭제되다보니 선대가 독립운동을 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경우도 있다”며 “정부는 이러한 후손들을 적극적으로 찾아내 훈장을 전수하고 그에 응당한 보상을 해야 할 것이다”고 지적했다.

    김유경 기자 bora@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유경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