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기자수첩] 관리 안되는 위안부 소녀상

  • 기사입력 : 2016-05-22 22:00:00
  •   
  • 메인이미지


    기자는 최근 다수의 창원시민들에게 일본군 위안부 추모 소녀상이 세워진 곳을 물었다. 하지만 대다수가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심지어 소녀상이 세워진 창원시 마산합포구 오동동 문화광장 인근에서 물어봐도 상황은 비슷했다. 이야말로 ‘방치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위안부 실화를 담은 영화 ‘귀향’이 7만5000명이 넘는 국민 후원으로 제작돼 300만 관객을 돌파한 사실을 봤을 때 대중의 관심이 적은 것도 아닐 것이다. 창원지역 추모 조형물도 마찬가지다. 지난 2013년에 추진돼 마창진시민모임 등 시민단체들이 추모비 건립위원회를 구성하고, 적잖은 시민모금을 통해 지난해 8월 16㎡ 규모의 이곳 시유지에 세웠다. 총 건립비용은 1억원가량. 일본군 ‘위안부’ 강제 동원을 위한 중심 전진기지이자 중간집결지였던 마산에 ‘인권 자주 평화 다짐비’라는 이름으로 세우기까지 2년여의 정성이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시의 지원과 시민들의 뜨거운 관심이 없었더라면 애당초 소녀상은 이 자리에 존재할 수 없었다.

    그런데 소녀상은 누구의 관심도 받지 못한 듯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었다. 손과 발, 목, 얼굴 등이 ‘땟국’에 절었고, 거미줄, 먼지로 뒤덮여 있었다. 소녀상 옆으로는 대규모 건물 공사가 진행되고 있지만, 조형물을 보호하기 위한 어떠한 조치도 없었다.

    관리주체인 시민단체에게 이 사실을 알고 있느냐고 물어봤다. “알고는 있지만 시 땅이라서 함부로 할 수가 없다”고 했다. 보도 이후 시 관계자들은 바로 다음 날 현장을 찾아 별도의 가림막을 설치하는 부산을 떨었다.

    시민단체는 시로부터 부지를 받을 당시 조성 후 잘 관리하겠다고 동의서를 제출했다. 우선 세우고 보자는 ‘급한 마음’이 아니었다면, 현재의 관리부실에 대한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다만 소녀상 부지는 시유지다. 시민단체의 관리범위에 한계가 있다는 점도 일견 이해가 된다. 그렇다면 시와 시민단체가 ‘소통의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기왕지사 건립된 소녀상이 잘 관리돼야 하지 않겠는가. 한을 삭이지 못하는 우리 할머니들을 위해서도. 김재경 기자 (사회부)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재경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