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17일 (수)
전체메뉴

(634) 잠로영안(暫勞永安) - 잠시 힘들이면 영원히 편안하다

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 기사입력 : 2016-05-31 07:00:00
  •   

  • 대학생들에게 “우리말은 누가 만들었나?”라고 질문하면 대부분이 “세종대왕”이라고 대답한다.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 것 가운데 하나가 ‘한글이 곧 국어’라는 생각이다.

    2005년 ‘국어기본법’이라는 법률을 제정해 공포했다. 이 법령에 의해 한자는 국어가 아니라, 국어교과서에 들어갈 수 없게 만들어 버렸다.한글은 우리말이 아니고, 우리말을 적을 수 있는 기호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말은 아득한 옛날부터 있었다. 국어는 순수한 우리말과 한자어가 합쳐져서 된 언어이다. 우리말의 74%가 한자어이고, 학술용어 등은 99%가 한자어이다. 말이 안 되는 ‘국어기본법’은 위헌이라고, 현재 한국언어문화정상화추진회에서 헌법재판소에 위헌소송을 제기해 놓은 상태다.

    한글전용주의자들은 ‘한글만으로도 충분히 의사소통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한자를 쓸 필요가 없고, 남의 나라 글자이고 어려운 한자를 교육하는 것은 어린이들에게 큰 부담을 주기 때문에 한자교육을 해서는 안 된다’라고 늘 주장해 오고 있다.

    그들의 주장은, “한글은 24자만 배우면 되는데, 한자는 5만 자나 된다.” “한글은 간단한데, 한자는 획수가 너무나 많아 현대사회에 맞지 않다” 등등의 주장을 하는데, 이런 주장에 현혹되면 안 된다.

    한글 24자와 한자 5만 자를 비교하는 것은, 비교의 기준이 잘못되었다. 한글 24자를 배워 한글로 된 책을 읽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면 이런 주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글로 된 책을 읽으려면 한글 단어 하나하나를 다 익혀야 한다. 아무런 체계도 없이 기계적으로 1만 단어 이상을 익히려면 너무나 힘이 든다. 얼마 이상 지나가면 더 이상 익혀지지 않는다.

    그러나 한자는 1000자만 익혀두면 10만 단어 이상을 저절로 그 뜻을 알게 된다. 배운 적이 없는데도, 보는 순간 단어의 뜻을 알 수 있다. 또 뜻을 정확하게 알아 기억이 오래 간다.

    한자는 획수가 많다고 하지만, 동일한 내용을 전달하는 데 있어 한글이 획수가 많은지 한자가 많은지를 비교해야 한다. ‘학교에 가다’와 ‘등교(登校)’ 등을 비교하면, 평균 한자어가 순수 우리 말보다 3분의 1로 간단하다.

    ‘민주주의(民主主義)’의 경우도 ‘백성이 주인이 되는 주의’라고 외워두면 특별히 힘을 안 들여도 평생 잊어버리지 않는다.

    그러나 국어사전식의 ‘국민이 권력을 가지고 주인이… 제도’식으로 외우면 머리에 상(像)이 잡히지 않아 얼마 지나면 날아가 버린다. 잠시 한자 1000여 자 익혀두면 평생이 유익하다. 컴퓨터나 영어를 학생들 부담 준다고 가르치지 않는 것이 학생들을 위한 길인가? 평생을 망치는 것이다.

    우리가 수천 년 동안 써온 한자를 남의 나라 글자라고 버리고, 부담 준다고 가르치지 않으면, 장차 어린 학생들이 평생 받을 손해를 누가 책임질 것인가?

    *暫 : 잠시 잠. *勞 : 수고로울 로.

    *永 : 길 영. *安 : 편안할 안.

    경상대 한문학과 교수

    ※소통마당에 실린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