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지진 위험지역 원전, 가동 중단 가능할까

시민단체, “가을 전력 문제없다”
동남권 원전 중단·안전점검 촉구
한전 “전력수급 차질·요금 인상”

  • 기사입력 : 2016-09-21 22:00:00
  •   
  • 지난 12일 경주에서 국내 관측사상 최대규모인 5.8 강진이 발생한 이후 환경단체 등으로부터 원자력발전소 가동 중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세계 최대 원전 밀집지인 동남권에 규모 7 정도의 강진이 발생할 경우 안전을 장담할 수는 없다는 지적이 잇따르면서 원자력발전소를 가동하지 않고도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지 논란이다.

    한국전력은 전력수급 차질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하지만 시민단체는 현재 발전설비 상황으로도 무리가 없다며 가동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메인이미지
    최근 경주 지역의 잇따른 지진으로 안전점검을 받은 경북 경주시 월성원자력발전소의 20일 오후 모습./매일신문/

    ◆가동 중단 가능할까= 원자력발전소 가동 중단에 대해 한국전력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전 관계자는 “총생산량의 30% 이상을 원자력발전이 차지하고 있어 가동을 중단하면 전력수급에 심각한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원자력발전 없이 적정예비율 15% 이상을 확보하는 것은 쉽지 않고, 발전단가가 싼 원자력발전을 중단하고 대체에너지인 LNG를 통해 수급을 하면 발전단가가 비싸진다. 전기요금 인상으로 직결되고 산업계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라고 설명했다.

    한국수력원자력 관계자는 “전력예비율에 따라 확인해야 할 문제라서 단편적으로 말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2015년 전체발전량 52만2351GWh 가운데 원자력 발전량은 16만4771GWh로 총생산량의 31.5%를 차지한다. 석탄(20만7327GWh)에 이어 두 번째다. 이어 가스(10만4108GWh), 유류(2만3958GWh), 대체에너지(1만7277GWh), 수력(6471GWh) 등이 차지하고 있다.

    ◆전문가 입장= 전문가들은 현실적으로 원전 가동을 곧바로 중단하는 것은 여건상 어렵고 대체에 많은 비용이 들어 쉽게 판단할 문제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여기에 장기적으로는 대체에너지 개발 등을 통해 원자력발전소를 없애는 에너지 정책을 추진해 원전 안전성 논란을 줄여나가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정재준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원자력시스템전공) 교수는 “천연가스로 대체하면 단가가 4배 이상 올라가는 단기적 문제도 있지만 신재생에너지 발전에는 재원이 많이 들어가고, 우리나라는 여건상 전기를 수입할 수 없는 문제 등을 검토할 때 중단에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본다”고 했다.

    김유창 동의대 산업안전공학과 교수는 “원전을 바로 가동 중단할 문제는 아니다”면서도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백지화하고, 사용연한이 지난 원전은 연장하지 않고 폐기하는 방향으로 우리나라도 선진국처럼 에너지 정책을 전환해 국민들의 우려를 불식시켜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민단체 주장= 탈핵시민행동과 환경단체 등은 지난 12일 강진 이후 원전 가동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마창진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21일 “가을 최대전력 수요량을 볼 때 동남권의 원전을 전력망에서 제외하는 것은 현 발전설비 상황으로 무리가 없다. 한시적으로는 가동 중인 원전을 중단하고, 장기적으로는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앞서 탈핵경남시민행동 20일 창원~마산 간 차량시위를 벌이면서 “기상청은 19일 지진이 지난 12일 지진 이후 일어난 378차례 여진 중 가장 큰 규모라고 했지만 여진이 아니라 전진일 수도 있다”면서 “정부는 가동 중인 원전을 정지하고 전문가가 참여해 안전점검 후 비상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영진 기자
    메인이미지


    ☞국내 원전현황= 한울원전 1~6호기(경북 울진) 월성원전 1~4호기(경북 경주) 신월성원전 1~2호기(경북 경주) 고리원전 1~4호기(부산) 신고리원전 1~2호기(부산) 한빛원전 1~6호기(전남 영광) 등 총 24기의 원전이 가동되고 있다. 이 중 18기가 경북 울진과 경주, 부산 등 이번 지진 진앙지와 가까운 동남권에 밀집돼 있다. 최근 정부가 건설을 승인한 신고리 5·6호기도 계획대로라면 2021년 들어설 예정이다. 가동 중인 원전은 모두 규모 6.5에 내진설계값이 맞춰져 있다. 내진설계는 원자력법 ‘원자로시설등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에 규정돼 있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도영진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