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경제인칼럼] 바람직한 도시재생의 방향- 김홍채(창원 더함D&C 대표 감정평가사)

  • 기사입력 : 2017-06-19 07:00:00
  •   
  • 메인이미지


    도시는 성장과 성숙, 그리고 쇠퇴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쇠퇴의 과정에 있는 지역은 도시재생이 진행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1960년대 이후 경제구조가 산업화로 전환되면서 도시로의 인구 집중과 도시개발이 진행됐다.

    현재의 통합창원시 중 마산회원구와 합포구의 경우는 1970년대 섬유산업과 중화학공업이 활성화되면서 전국적인 도시로 발전했고, 성산구와 의창구는 창원국가산단의 조성과 경남도청이 이전함에 따라 산업 도시와 행정 중심 도시 기능을 모두 가진 지역 중심 도시로서 성장하기 시작했다. 도시는 신마산, 대방동, 북면 신도시 등 외곽으로 확장단계를 거치게 됐고, 구도심의 상당부분은 쇠퇴의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성장과 성숙의 단계를 거쳐 쇠퇴기에 이른 창원시 다수의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재개발과 재건축이 완료됐거나 진행 중인 상태에 있으며, 또한 합포구 창동, 오동동 및 성산구 중앙동 오거리 주변 상가지대와 중앙동, 상남동 저층 상가를 중심으로 도시재생사업이 진행되고 있거나 검토되고 있다.

    기존 도시정비사업은 대부분 ‘전면철거 후 신축’이라는 개발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아파트 등을 대규모로 공급해 주택난 등의 해소에 기여한 긍정적인 측면이 있으나, 젠트리피케이션 (Gentrification) 현상이 심화돼 원주민들은 도시재생사업에서 소외되고 임대료 등이 더 싼 곳으로 내몰리는 문제가 생기게 됐다. 젠트리피케이션이란 도시재생 등을 통해 원도심이 활성화되면 주택, 상가 등 부동산 가격 및 임대료가 치솟아 원주민들이 다른 곳으로 밀려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바람직한 사업 방향은 ‘도시에 사는 모든 사람은 동등하다’라는 가치가 우선하고 중심되는 도시재생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선,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소유자 및 임차인 모두 참여하는 원주민 참여형 방식으로 사업이 추진돼야 할 것이다. 원주민 참여형 사업방식은 수익성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법률, 조례 등을 정비하여 임차인의 참여비율에 따라 당해 토지의 건폐율이나 용적률 등을 높여 주는 방안 또한 적극적으로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전면철거 후 대규모 내지 고층 신축방식’의 기존 도시재생사업에서 탈피해 사업의 방식과 내용을 다양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예를 들어, 생활패턴 변화 등으로 3층 이상의 상가는 공실이 증가하는 실정으로 노후도심에서의 고층 신축방식은 지양돼야 한다. 또한 구도심의 오래된 상가나 음식점 등은 이름 그 자체로 하나의 경쟁력이 될 수 있으므로, 상가의 리모델링이나 부분 증축 등의 방법으로 사업을 추진한다면 적은 사업비용으로도 안정성과 재생 및 활성화라는 목표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지역의 사회적 경제조직이 함께 참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지역의 특성을 살린 골목가게와 전통시장의 활성화, 특산품의 홍보 및 판매, 문화, 관광자원과의 연계 등을 사회적 경제조직과 함께 개발, 추진한다면 신규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경제를 보다 활성화시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홍채 (창원 더함D&C 대표·감정평가사)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