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19일 (금)
전체메뉴

[세상을 보며] 가야사 복원 과제 중 김해가 챙겨볼 한 가지- 허충호(정치부 김해본부장·국장)

  • 기사입력 : 2017-06-29 07:00:00
  •   
  • 메인이미지


    문재인 대통령이 가야사 복원을 영·호남 화해 정책과제에 포함시킬 것을 주문하면서 ‘가야왕도 김해’를 상표등록까지 한 김해가 힘을 받는 분위기다. 문 대통령의 이번 과제 제시는 삼국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료도 부족하고 일부 설화 수준에 머물고 있는 ‘제4제국’의 실체를 밝혀보자는 의지로 읽힌다. 일부 학자들은 대통령이 특정한 시기의 역사연구를 정책 과제로 삼으라는 것 자체가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지만 고대왕조의 실체를 확인하는 작업은 어떤 의미에서든 필요한 일이다.

    물론 이 같은 가야사 복원 과제가 일부의 우려처럼 보여주기식 토목사업으로 변질되는 것은 분명 경계할 일이다.

    그렇다고 이견(異見)이 없는 것도 아니다. 역사를 시공간에 형성된 무형의 문화와 기록·형상 등 유형의 실체를 결합한 것이라고 한다면 사라진 역사의 흔적을 상징적으로라도 복원하는 것이 꼭 경계대상만은 아니다. 김해가 이번 대통령의 과제 제안을 정체 상태에 놓인 가야사 2단계 복원사업의 막힌 물꼬를 트는 계기로 기대하는 것도 이에 기인한 것은 아닌가 한다.

    만일 김해가 그런 시각을 염두에 두고 가야사 2단계 복원사업을 추진하는 것이라면 짚고 넘어가야 할 전제가 있다.

    알다시피 가야권은 김해는 물론 창녕, 합천, 함안, 멀리는 경북 고령까지 펼쳐져 있다. 최근에는 고령의 대가야와 연계해 가야사의 범위가 전남까지 확산하는 분위기다. 가야권문화협의회에 가입된 광역지자체만 경남, 전남·북, 대구·경북 등 5개다. 시·군도 거창, 고성, 의령, 산청, 하동, 함안, 함양, 합천을 비롯해 광양, 남원, 달성 등 17개에 달한다. 거의 한반도 남부지역을 망라하는 고대사다. 문 대통령이 가야사 복원을 영호남의 소통문제로까지 범위를 넓힌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이런 가운데 김해가 가야사를 토대로 도시품격을 높이려는 정책적 시도는 높이 살 일이다. 그럴만한 근거도 충분하다고 판단한다.

    그래도 역사는 어디까지나 사실에 근거해 평가돼야 하고, 그렇게 평가된 역사는 존중받거나 비판받는 가치가 있는 것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가야사 연구는 ‘가야 왕도 김해’만의 어젠다가 아니다. 가야사 1단계 사업을 마무리하고 2단계를 준비하는 김해로서는 서운하게 들릴 수 있다. 이미 가야의 왕도를 천명한 만큼 “웬 딴지?”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이번 국정과제 제안 이후 가야권 지역마다 “내가 제일 잘나가”라고 목소리를 높이는 저변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바로 아직 정립되지 않은 많은 가설들이다.

    가야사 기록물이 변변찮은 가운데 신라로 병합된 아픈 역사로 인해 정사라고 내세울 근거가 적은 만큼 연관된 지역들마다 아전인수격 평가를 하는 것은 어쩌면 예견된 일이다. 관련 지자체가 적지도 않으니 그런 논란과 논쟁은 더욱 증폭될 개연성이 높다.

    사정이 이렇다면 가야왕도 김해가 현 시점에서 챙겨봐야 할 일은 무엇일까. 김해가 진정 가야의 왕도를 주창한다면 정부가 국정과제로 가야사를 복원하는 시점에 맞춰 김해와 가야의 연결고리를 앞서 찾는 일이다. 가야사의 연구에서 아직 정리되지 않은 ‘불교전래설’을 비롯해 수많은 논쟁거리를 김해가 앞장서 정립해보려는 선제적 대응 노력이다.

    역사는 사실의 기록이어야 하고, 가설은 명확한 근거로 논증돼야 비로소 역사가 된다. 고대 가야사 복원사업이 정책과제로 떠오르는 이번 기회에 가야 왕도 김해가 가야 ‘정사(正史)’ 찾기를 시정 핵심시책으로 삼아 보면 어떨까.

    허충호 (정치부 김해본부장·국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