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가고파] 원전해체산업- 이명용 경제부 부장

  • 기사입력 : 2017-07-25 07:00:00
  •   

  • 탈원전을 공약으로 내걸었던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국내에서도 원전해체산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지난 40년 동안 한국을 원자력 강국으로 만든 1등 공신인 고리원전 1호기가 지난달 18일 자정을 기해 가동을 중단하면서 본격화되고 있다. 원전이 운영되고 있는 부산시 기장군, 경북 경주시, 울산시 울주군 등에선 원전해체산업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원전해체센터 유치에 사활을 걸고 나섰다.

    ▼원전해체산업은 수명이 종료된 원전을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처리해 자연상태로 복원하는 일체의 관련된 분야다. 영구정지 후 △해체준비 △제염(오염제거) △절단·철거 △폐기물 처리 및 환경복원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국내의 경우 설계대로 진행되면 2030년까지 12개의 원전이 문을 닫으면서 8조원(1기당 해체비용 6500억 추산)의 시장이 열리게 된다. 세계적으로 2050년까지 200조원 시장이 예상되고 있다. 원전해체산업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해체 경험도 없고 기술도 부족하다. 해체기술을 가진 나라는 미국과 일본, EU(유럽연합) 정도다. 해체 경험도 미국 15기, 독일 3기, 일본 1기뿐이다. 다만 우리나라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연구용 원자로 해체경험을 바탕으로 핵심기술 38개 중 27개를 확보한 상태다. 나머지는 앞으로 개발해 상용화가 필요하고 관련 업체들의 실증경험이 있어야 원전해체산업에 진출이 가능하게 된다.

    ▼도내에도 두산중공업, 세아창원특수강, 이엠코리아 등이 이 분야와 관련을 맺고 있다. 하지만 업계 일각에선 장밋빛 전망을 경계하면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 분야가 대부분 사람들 위주로 이뤄지면서 부가가치 등 경제성이 높지 않고, 해체연구소의 유치도 연구 결과보다 실증이 중요하기 때문에 큰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신사업도, 미래유망사업도 전혀 아니다. 너무 호들갑을 떠는 것 같다.” 한 업계 관계자의 말이다.

    이명용 경제부 부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이명용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