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0일 (토)
전체메뉴

‘한국전쟁 민간인 학살’ 유족 한 풀릴까

  • 기사입력 : 2017-08-16 22:00:00
  •   

  •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의 하나인 ‘국민 눈높이에 맞는 과거사 해결’ 방안으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가 내년 활동을 재개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6·25전쟁 때 집단 학살당한 도내 민간인들의 유해 발굴 및 진상 규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메인이미지
     경상남도 합동추모제 자료사진./경남신문 DB/



    경남대와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피학살자 전국유족회’에 등에 따르면, 경남지역에서는 지난 2005년부터 ‘경남대학교박물관 진전 여양리 피학살 민간인 유해 발굴작업팀’이 6·25전쟁 시기에 학살당한 민간인 집단희생자 유해발굴 작업을 도맡아 했다. 당시 발굴작업팀장이자 경남대박물관 학예관리팀장이었던 고(故) 이상길 교수는 경남대와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의뢰를 받아 옛 마산 진전면 여양리에서 167구, 산청 시천면 외공리와 원리에서 257구, 진주 문산읍 진성고개에서 111구의 유골을 발굴했다. 마산 진전면 일대는 1950년 7월 진주시 진성면과 일반성면 일대 주민들이 대량학살된 지역으로 알려진 곳이다. 이 교수는 지난 2004년 여양리 발굴작업과정에서 발견된 ‘泰仁(태인)’이라고 새겨진 나무도장 등을 토대로 민간인 학살의 실체를 밝힐 수 있는 ‘태인 아저씨’의 신원을 밝히기 위해 애를 써오다 지난 2012년 별세했다.

    경남대 관계자는 “당시 이 교수가 사비까지 들여 ‘태인’과 제보자의 DNA 검사를 하는 등 최선을 다했지만 안타깝게도 신원이 밝혀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생전 이 교수는 진실화해위가 종료됐다면, 지자체가 나서 유해 조사와 발굴에 나서고, 집단희생자를 위로하는 공공 납골 시설이라도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2010년 과거사정리위원회 활동이 종료되면서부터는 정부기관이 아닌 민간단체 주도로 발굴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전쟁유족회 등이 참여한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공동조사단(발굴단장 박선주 충북대 명예교수)’은 지난 2014년과 올해 2월 진주시 명석면 용산고개 등 4차에 걸친 발굴작업을 펼쳐오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조사와 발굴은 중단된 상황이다.

    문재인 정부가 내년 상반기 중 2기 진실·화해위원회 활동을 재개하고 과거사 전반에 걸쳐 미해결 사건을 접수, 진실규명에 착수하기로 해 피해자 및 유족단체는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정부는 연내 과거사정리기본법을 제정하고, 위원회를 구성키로 했다. 또한 과거사별 피해자 및 유족단체 등이 참여하는 ‘과거사 통합재단’ 설립도 검토 중이다. 이를 통해 유해 발굴과 위령사업, 연구·조사를 이어가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현재 국회에는 이미 민간인 학살 진실 규명과 배·보상에 관한 ‘과거사정리기본법 개정안’도 발의돼 있는 상태다.

    노치수 경남도유족회장 겸 한국전쟁유족회 이사는 “정부가 해결되지 않은 과거사에 관심을 갖고 있어 기대감은 어느 때보다 높다”며 “피해자와 유족들은 특별법 제정을 통해 지속적인 유해 발굴과 피해자 손해배상, 위령사업 확대로까지 이어지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병현 진주유족회장도 “정부와 국회 차원의 노력이 이어져 유해발굴이 되더라도 후속 조처가 문제”라며 “발굴된 유해를 안치하고 위로하기 위한 공공 시설을 만들고, 위령사업을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과 지역민들의 관심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도영진 기자 dororo@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도영진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