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경남시론] 마을개발, 지역별 중간지원조직이 필요하다- 장병수(문화관광학 박사)

  • 기사입력 : 2017-09-25 07:00:00
  •   
  • 메인이미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주최한 ‘제4회 행복마을 만들기 콘테스트’가 지난 15일 대전시 서구 KT인재개발원에서 열렸다. 전국 2742개 마을이 참여해 시·도별 예선과 현장 평가를 거쳐 5개 분야 25개 팀이 수상을 했다.

    경남도는 마을개발 최고의 상인 금상(대통령상)을, 경관·환경분야에서 밀양시 봉대마을과 깨끗한 농촌만들기 분야에서 합천군 내촌마을이 각각 수상했다. 경남이 현장심사에서 전국에서 유일하게 5개 분야 전 팀이 본선에 진출해 2년 연속 전국 최다 수상이라는 기록을 달성했다는 것은 너무나 반가운 일이다.

    그동안 경남도와 지자체, 관련 기관들의 노고에 박수를 보낸다. 하지만 성과를 냈다고 다 끝난 것은 아닐 것이다. 이제 앞으로가 더 중요하다. 마을의 역량을 키워나가기 위해선 마을 리더 양성에서부터 주민의 참여의식 제고와 쾌적한 삶의 공간 조성 및 소득 증대를 위한 여러 가지 측면에서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지역 자생력 강화를 통해 마을사업들의 원활한 추진은 물론 사업 후에도 지역을 관리, 운영해 나갈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야 한다.

    우리나라에 많은 농촌지원정책이 있지만 성공사례는 그렇게 많지는 않다. 마을공동체사업을 책임져야 하는 3대 주체는 행정, 주민, 전문가다.

    하지만 마을공동체사업이 진행되는 전국의 지역과 마을에서 거둔 그동안의 성과가 그다지 만족스럽지는 않다. 수익창출에 기반을 둔 전문가 컨설팅이 행정과 주민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이는 지역과 마을의 특성을 제대로 발굴하지 못하고 비슷한 형식이나 내용으로 마을을 포장하기에 어딜 가나 똑같은 붕어빵식 개발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농촌마을 공동체의 미래와 희망을 개발하는 일은 마을만의 독특한 소재와 특징을 발굴하여 차별적인 마을만들기를 기획하고 설계해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최근 농촌지역 개발 관련 컨설팅업체들이 우후죽순처럼 난립하면서 이 지역 저 지역 입찰경쟁에만 신경을 써다보니 정작 그 지역의 특성을 무시한 소위 틀에 박힌 내용과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성과가 저하되는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다. 농촌관광은 마을만의 독특한 뭔가가 있어야 경쟁력을 가진다. 아니면 마을에 맞게 뭔가를 개발해 내어야 한다.

    그래서 그 지역과 마을을 잘 아는 지역 내에 중간 지원조직이 필요하다. 사업완료 후 까지도 그 마을을 책임져야 한다. 그동안 각 지자체마다 공무원의 순환보직에 따른 전문성·지속성·진정성 저하 문제가 심각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선 주민과 행정 사이에서 전문적인 지원 및 소통 업무를 담당하는 중간 지원조직체계 구축이 꼭 필요하다.

    이번 기회에 농촌마을을 볼모로 삼아 수지타산을 맞추어야 살아남을 수 있는 민간 컨설팅업체의 구조적 폐해를 근절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각 지자체의 중간지원조직이 해당지역의 마을공동체 관련 사업을 총괄 전담하는 방식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때 기존의 민간 컨설팅업체는 지역별 중간 지원조직과 협업조건에 한해 참여 통로를 열어주면 된다. 진안군의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완주군의 공동체지원센터 등의 선례는 그 가능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농촌 지역 특유의 현장감을 가진 지역현장 전문가를 확보해 지역공동체에 뿌리를 둔 전문가 조직으로서 사업을 수행하게 한다면 지속성 있는 마을 발전이 꼭 이루어지리라 확신한다.

    장병수 (문화관광학 박사)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