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사설] 3·15의거 58주년을 보는 두 가지 시각

  • 기사입력 : 2018-03-16 07:00:00
  •   

  • 독재정권에 조종(弔鐘)을 울린 3·15의거에 대한 정부의 홀대가 심하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15일 열린 3·15의거 58주년 기념식과 관련, 대통령은 물론 국무총리마저 불참했다고 한다. 여기에 더불어민주당이 3·15의거를 시민데모대와 경찰의 충돌로 규정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 땅에 민주주의의 꽂을 탄생시키는 효시를 마련한 3·15의 얼과 정신을 폄하한다는 비판이 거세지는 분위기다. 3·15의거 기념사업회 관계자는 집권여당이 3·15의거에 대해 어떤 인식인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경남의 야권도 부총리 참석으로 3·15의거 기념식 격이 크게 떨어짐을 지적했다. 자유한국당 경남도당은 성명을 통해 3·15의거 유공자분들에게 최소한의 예우를 갖출 것을 강조했다.

    3·15의거는 4·19혁명의 정신을 태동한 ‘민주주의의 거울’이자 위대한 역사로 기록되고 있다. 하지만 4·19혁명의 도화선이지만 독자적 위치와 의미가 온당한 평가를 받지 못했다. 2000년 들어 김대중 전 대통령이 처음으로 기념식에 참석함으로써 역사적 재평가작업이 시작됐다. 국립 3·15민주묘지도 2년반 동안 청원 끝에 2002년 마산 3·15성역공원에서 국립묘지로 승격됐다. 이번 58주년 기념식을 놓고 한국 민주주의의 역사를 보는 시각이 이렇게 다를 수 있느냐는 목소리가 불거지는 연유다. 3·15의거와 부마항쟁 속에 관류하는 민주화 정신에 대한 대접이 너무 형편없다는 것이다.

    3·15의거를 4·19혁명이나 부마항쟁과 동일 선상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밝힌다. 역사적 흐름에서 3·15의거 없는 4·19혁명을 어찌 생각할 수 있겠는가. 정치권은 4·19혁명을 촉발한 3·15의거를 폄하하거나 분리해 인식해선 안 된다. 이런 연유에서 3·15의거를 헌법 전문에 수록하자는 주장부터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3·15의거는 독재정권하에서 민주화 흐름을 바꿔 놓은 민중항쟁의 시발점이란 점에서다. 민주열사들의 피와 땀으로 이뤄진 3·15의거에 대해 그간 걸맞은 대접을 해왔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