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춘추칼럼] 한반도 비핵화·평화체제 이행방안- 양무진(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기사입력 : 2018-06-29 07:00:00
  •   
  • 메인이미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4·27 판문점선언을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공동의 목표에 합의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6·12 센토사섬 공동성명을 통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남과 북은 한반도의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하여 적극 협력해 나갈 것을 판문점선언에 명시했다. 북미 양국은 한반도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함께 노력함을 센토사섬 공동성명에 명시했다. 평화협정은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시키는 외교적 문서이다. 평화체제는 군사적 대결상태와 정치적 적대관계를 종식시키고 평화협력관계로 나아가기 위한 규범·기구·제도의 총체이다.

    한반도 비핵화·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이행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이행방안에는 세 가지가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 한반도 평화체제의 목표가 분산되어서는 안 된다. 한반도 평화체제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비핵화이다. 한미동맹과 관련된 여타 사안들이 필요 이상으로 부각되어서도 안 된다. 둘째, 가장 신속하고 신뢰가 지켜지는 방식으로 비핵화와 체제보장의 빅딜을 추진해야 한다. 6·12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재확인했기 때문에 속도를 늦출 이유가 없다. 셋째, 4·27 판문점선언 후 남북관계가 제 궤도를 찾아감으로써 비핵화 협상과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남북관계의 진전이 비핵화 협상을 추동하고 비핵화의 진전이 남북관계 발전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선순환 구조 확립이 중요하다.

    6·12 북미정상회담에서 완전한 비핵화와 체제보장의 빅딜 구조가 형성됐다. ‘단계적 동시성 이행구조’를 가진 가장 신속한 비핵화와 체제보장의 순서를 찾아나가야 한다. 북미 간 신뢰구축을 위해 ‘행동 대 행동’의 조치들이 뒤따라야 한다. 북미 간에는 풍계리 핵실험장 및 미사일 엔진실험장 폐기와 한미합동군사훈련 중단 등으로 선행조치를 교환한 셈이다. 핵동결 선언과 종전선언의 교환이 다음 순위이다. 북한의 핵확산금지조약(NPT) 복귀 및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과 북미 불가침 협정 및 대북제재 철회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북한의 핵물질·핵시설 등의 폐기와 함께 북미관계정상화 교환도 생각해야 한다.

    비핵화 과정에서 평화체제 전환 추진을 위해서는 한국의 지위 및 역할이 보장되어야 한다. 북미협상 구조에서는 한국이 한반도문제의 결정권에서 배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중 패권경쟁의 심화를 야기시킬 수도 있다. 평화협정·군비통제·한미동맹의 변경 등은 한국의 안보에 직결되는 사안이다. 평화협정은 남북이 체결하고 주변국이 보장하는 방식이 현실적인 해법이다. 군비통제 및 축소 문제는 먼저 남북 간에 협의되어야 한다. 중국은 비핵화와 평화체제 병행론, 평화협정 당사자론, 북한에 대한 경제지원 등을 매개로 하여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과정에 관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평화체제 구축과정에서 중국을 포함한 주변국들의 이해관계를 어떻게 조정할지가 중요하다.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시작은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구상과 김정은 위원장의 평창올림픽 참가 등 남북 간 이니셔티브로 추진됐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비핵화와 평화체제 협상의 당사자는 남북이다. 하반기는 문재인 대통령의 운전자론이 중요한 시기이다. 7~8월 북미 후속협상이 진행되어 적어도 8월 중순경 단계적 동시성 이행 로드맵이 발표될 수 있도록 역할을 해야 한다. 8·15 경축사를 통해 남북관계 확대 발전방안 제시가 필요하다. 비핵화 로드맵이 나올 경우 민간교류 및 대북지원 허용, 접경지역 교류, 북한과의 경제협력 방안 타진도 요구된다. 우리에게는 한미동맹 이슈가 민감하다. 북한에게는 존엄과 관련된 문제가 중요하다. 민감한 이슈들이 필요 이상으로 부각되지 않게 상황관리를 잘해야 한다. 역사는 준비하는 자가 있기에 발전한다.

    양무진(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