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0일 (토)
전체메뉴

‘김경수 도정’ 6대 중점과제 살펴보니 (5) 먹거리 순환체계로 도농상생

‘경남 광역형 지역푸드플랜’ 수립 추진
먹거리안전 강화 중·장기 로드맵
이달 중 용역 진행 내년 3월 마무리

  • 기사입력 : 2018-10-01 07:00:00
  •   
  • 메인이미지
    김해시에 마련돼 있는 김해학교급식지원센터./경남신문DB/


    경남지역 학교급식은 개별적 운영에 따른 최저가입찰 등으로 어린이와 학생들에게 건강하고 질좋은 먹거리 공급을 보장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교 및 공공급식의 지역내 공급체계를 구축하고 생산자의 안정적인 생산보장과 질 높은 농산물 소비를 확대하기 위한 먹거리 공급체계의 혁신이 필요하다.

    경남도는 지역별로 공공급식지원센터를 설치하고 먹거리 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다. 또 ‘경남 광역형 지역푸드플랜’을 수립할 방침이다.

    ◆현황·실태= 경남지역 학교급식은 가격 경쟁에 따른 저가 농산물 공급이 우선돼 질좋은 먹거리가 공급되지 못하고 있다. 또 도내에서 생산된 친환경 농산물의 마땅한 소비처도 없고 일반 농산물도 대도시 시장중심으로 판매되고 있어 농산물 시세변동에 따른 농가소득 불안과 수도권 중심의 판매경쟁에 내몰리고 있다.

    따라서 먹거리 공공성을 담보하고 지역내 농산물을 체계적이고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한 학교급식지원센터 등의 기능이 필요하지만 현재 김해시와 거창군만 운영하고 있다.

    경남지역의 농산물은 부산·울산·경남 도시지역에 수요처가 있어 로컬푸드 활성화와 먹거리순환 공동체 구축에 적합한 조건이다.

    서울시는 학교급식과 공공급식을 통합해 지원을 확대하면서 원활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받길 희망해 ‘친환경 급식자재 공공조달 플랫폼’을 경남도와 함께 구축 하려는 계획도 가지고 있다.

    ◆추진방향= 경남도는 먹거리 안전성 강화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중·장기 대책인 로드맵 형식의 ‘경남 광역형 지역푸드플랜’을 수립한다. 이달 중에 관련 용역을 진행해 내년 3월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번 용역에서 지역먹거리의 생산자(중소농, 대농)와 공동체를 살리는 방향으로 안전먹거리 지원시스템 구축과 로컬푸드 활성화 등을 포함한 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는 지역먹거리 현황을 조사해 안전성 강화를 위한 친환경급식자재 공공 조달체계를 구축하고 공공급식지원센터의 운영계획을 포함한 지역의 종합적인 먹거리 선순환체계를 구축하는 형태이다.

    이정동 경남도 농정국장은 “경남 광역형 지역푸드플랜은 신선농산물, 가공품, 수산물 등 급식 식자재의 안전성 강화 측면에서 ‘시군 지역푸드플랜’을 이끄는 역할을 하고 시·군 단위 지역푸드플랜은 2019년부터 매년 3개소씩 연차별 수립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경남 광역형 지역푸드플랜에는 ‘부산·울산·경남 공공조달 플랫폼’과 ‘경남-서울 공공조달 플랫폼’ 형성도 포함된다. 또 계획 수립 단계부터 실행단계까지 식품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민·관 거버넌스(먹거리 협치) 구축도 추진한다.

    이달 중으로 농업인, 생산자단체, 학부모단체, 학교급식운동본부, 영양사협회, 교육청 등과 함께 ‘먹거리위원회’를 구성할 방침이다.

    먹거리위원회는 경남 광역형 지역푸드플랜 용역에 참여하고 실행계획 등을 제안하는 역할을 한다. 지역푸드플랜 수립 이후 먹거리위원회를 안전먹거리 감시단(가칭) 등으로 활용해 실행단계에서도 지속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안전하고 우수한 지역 식자재(로컬푸드)의 지역 내 공급체계 구축과 고품질의 농·축·수산물 소비 확대를 위한 공공급식 지원센터(학교 급식 지원센터 포함)를 건립한다.

    우선 내년에는 도·시군비 예산으로 2개소를 건립하고 2020년부터는 국비예산으로 3~4개소씩 연차별 건립할 계획이다.

    시·군 직영 또는 농협 등에 위탁운영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공공급식 지원센터는 친환경, GAP, HACCP인증 등 우수한 먹거리 공공조달 플랫폼 공급기지 역할까지도 담당할 수 있다.

    ◆과제= 공공급식 지원센터는 도내 전 시·군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농업생산 기반이 취약한 시·군은 광역센터 및 인근 급식센터에서 조달해야 한다. 따라서 학교수 및 배송여건에 따라 시·군간 통합운영 등도 검토돼야 한다.

    지역푸드플랜 수립을 위해서는 관련 부서 및 시민단체 간 추진 필요성에 대한 사전 공감대 형성도 필요하다. 또 추진과정에서의 적극적인 참여와 역할분담도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공공급식 운영체계에서 반드시 필요한 식품안전성 및 품질의 엄격한 관리를 위해 급식센터 안전성 검사비용 지원, 생산자 품질관리를 위한 지원, 저온 유통 물류 설비 지원 등 관련 지원사업이 필요하며 품질 관리기준, 급식운영 매뉴얼 등의 운영 가이드 라인도 필요하다. 공공급식 및 푸드플랜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조례제정 지원 및 제도상의 개선사항 파악 및 개선을 위한 협력활동도 필요하다.

    이종훈 기자 leejh@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 관련기사
  • 이종훈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