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6일 (금)
전체메뉴

“스마트 공장 제조업 혁신 위해 노동환경 개선 필요”

경남고용포럼 ‘일자리 모델 포럼’
국책은행 지역 도입 등 방안 논의

  • 기사입력 : 2018-11-04 22:00:00
  •   

  • “제조업 르네상스 위해 ‘꼰대’ 아닌 ‘고수(高手)’가 필요하다.”

    스마트 공장을 주축으로 한 제조업 혁신을 위해서는 시설 개선 뿐만 아니라 그 공장을 구성하는 사람에 대한 논의가 더 활발히 진행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일 한국폴리텍Ⅶ대학 창원캠퍼스에서 고용노동부·경남도 등이 주최하고 (사)경남고용포럼, 창원대 노동연구센터 주관으로 열린 ‘스마트 공장과 경남형 일자리 모델’ 포럼에 참석한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정승일 이사는 이같이 주장했다.

    메인이미지
    ‘스마트 공장과 경남형 일자리모델 포럼’이 지난 2일 한국폴리텍Ⅶ대학 창원캠퍼스에서 열리고 있다.

    정 이사는 “스마트 공장 정책에 사람이 빠져 있다”며 “스마트 공장 확대 정책에 노동자 처우와 노동환경의 개선도 포함해 추진돼야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정 이사는 이어 “우수 숙련 기술자들이 은퇴를 앞두고 있지만 후계자 양성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게다가 청년들은 제조중소기업으로의 취업을 기피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현장의 ‘고수’들을 일자리위원회 위원으로 구성해 숙련 기술에 대한 과학적 등급화, 전문 기술 전수 매뉴얼 제작 등의 작업을 수행하고 공공기숙사·공연장 등 청년 친화형 SOC를 산업단지 내에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방재정의 효율적 사용도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나라살림연구소의 이상민 연구위원이 창원시와 진주시의 결산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진주시 일반회계 순세계잉여금(초과세입과 집행잔액 합계)은 4643억원으로 세입 대비 59.5%으로 나타났다. 창원시는 같은 해 1893억원으로 8.3%였다.

    이 연구위원은 “궁극적으로 균형발전할 수 있는 재정분권이 돼야한다”면서도 “현실적으로 보면 지자체들은 돈이 없다고 하는데 순세계잉여금이 50%가 넘는다는 것은 효과적 집행이 안 되고 있다는 말이다. 지자체 예산의 남는 돈을 줄이는 것도 경제활성화 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국책은행의 지역 도입 방안도 논의됐다.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원대식 겸임교수는 “농·수협 단위조합, 우체국, 신협, 새마을금고, 저축은행 등의 지역금융 자금이 지역에 환류되지 않고 중앙으로 유출되고 있다”며 “영리를 위해 운영되는 지방은행과 달리 공익적 역할 수행할 수 있는 국책은행을 법인 형식으로 지역에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경남도 미래융복합산업과 김태문 과장의 ‘도내 제조업 현실과 경남형 스마트 공장 구축·일자리 창출 계획’ 설명이 진행됐다.

    경남도는 2022년까지 사업비 489억원을 들여 스마트공장 2143개, 일자리 2598개를 만들 계획이다.

    글·사진= 조규홍 기자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조규홍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