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4일 (수)
전체메뉴

통일신라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77년 만에 고향 품으로 돌아온다

1941년 산청 떠나 대구·서울로 전전
진주박물관, 오는 30일께 복원 완료

  • 기사입력 : 2018-11-06 07:00:00
  •   
  • 메인이미지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의 경복궁 전시 모습(1946~1994년)./진주박물관/


    통일신라신대 석탑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이 77년 만에 고향품으로 돌아온다. 국립진주박물관은 5일 국보 제105호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전시를 위한 터파기 공사를 시작해 상설전시실 개편이 마무리되는 오는 30일께 복원을 완료한다고 밝혔다.

    범학리 삼층석탑은 일제강점기 당시 수난을 겪었다. 통일신라시대인 9세기 무렵 제작된 후 조선시대까지 사찰과 함께 경호강이 바라보이는 둔철산 자락에 자리해 있었다. 석탑이 허물어져 있던 것을 1941년 일본인 골동품상이 매수해 산청을 떠나게 됐다. 이후 석탑은 대구의 공장 공터에 해체돼 보관됐다가 조선총독부 박물관의 실태조사 때 발견돼 1942년 조선총독부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이 삼층석탑은 1946년 미군 공병대의 도움을 받아 경복궁 안에 세워졌으나, 1994년 경복궁 정비사업으로 다시 해체돼 23년간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에 보관돼 왔다. 진주박물관이 석탑의 진주 이관을 요청해 2017년 2월 이전이 결정됐다.

    진주박물관은 석탑의 전시에 앞서 역사·미술사와 과학 조사 등 다각적 종합 연구를 했다. 전형적인 통일신라 양식을 계승한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은 경남지역 석탑으로는 유일하게 탑 외면에 부조상이 새겨져 있다. 석탑 상층 기단에는 8구의 신장상, 1층 탑신에는 4구의 보살상이 정교한 수법으로 새겨져 있어, 당시 매우 정성들여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신장상과 보살상의 조합은 독특한 사례로 통일신라 후기 석탑 양식 연구에 중요한 지표가 되는 등 학술적 가치가 뛰어나며, 당시 뛰어난 조각기술과 경남지역 불교미술의 수준을 보여주는 걸작이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1962년 국보 제105호로 지정됐다.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석탑을 옮겨가는 과정에서 석탑 부재중 하대석 이하 일부분이 결실돼 신부재가 필요했다. 보통 신부재의 경우 다른 지역 채석장의 돌을 구해 복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진주박물관은 범학리와 근접한 산청군 정곡리에 폐채석장에서 석탑 부재와 동일한 섬장암을 채석해 복원했다. 석탑 부재와 같은 산지의 돌로 복원한 사례는 국내에서 극히 드문 경우로, 석탑은 77년 만에 원형에 가까운 모습을 되찾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정민주 기자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정민주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