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6일 (금)
전체메뉴

[사설] 심각한 경남 소득 역외유출, 대책 없나

  • 기사입력 : 2018-11-26 07:00:00
  •   

  • 경남에서 창출된 소득의 상당 부분이 서울과 부산 등 다른 지역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에서 발생한 소득의 역외유출은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걸림돌이 된다는 점에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산업연구원이 어제 발표한 ‘지역소득 역외유출의 결정요인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6년 경남의 요소소득 12조205억원이 타 지역으로 빠져나갔다. 지역내총생산액의 12.8%가 유출된 것이다. 이에 비해 서울과 경기, 부산은 소득이 유입됐다. 정부에서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지역분산을 유도하고 있지만 정주여건이 좋은 수도권과 광역시를 중심으로 소득이 유입돼 지역 간 소득격차는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세종시를 제외한 16개 시·도 중 9개 지역은 소득이 빠져나갔고, 서울, 경기, 부산 등 7개 지역은 유입됐다. 지역 간 소득 쏠림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뜻이다. 경남의 요소소득 역외 유출액은 2000년 8조8604억원에서 2016년 12조205억원으로 3조1601억원이나 늘어났다. 근로소득과 기업소득을 합산한 요소소득은 지역 소득 현황을 측정하는 주요 지표로 지역경제의 문제점을 진단할 수 있다. 경남의 요소소득이 다른 지역으로 유출됐다는 것은 사업장은 경남에 있지만 본사는 타 지역에 있어 영업이익이 본사로 빠져나가고 외지에서 출퇴근하는 근로자가 많다는 의미다.

    이 같은 소득 역외유출의 원인은 산업연구원의 통계자료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2008년부터 2016년까지 경남의 통근유입자 중 고소득자의 연평균 증가율이 37.41%다. 출퇴근자 중 고소득자가 많다는 것이다. 경남혁신도시 공공기관 직원의 가족동반 이주율이 40.6%에 그친 것도 소득 역외유출에 한몫을 했다. 이와 함께 경남에 본사를 둔 기업 중 지식집약산업의 비중이 매년 0.005%씩 감소한다는 것도 문제다. 지역 소득의 역외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고부가치산업의 본사를 경남에 유치하고 이들 기업에 근무할 수 있는 혁신인력 양성과 정주여건 개선이 필요하다. 정부와 경남도가 방안을 찾아야 한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