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사설] 체질개선 시급한 창원공단 방위산업

  • 기사입력 : 2019-02-28 07:00:00
  •   

  • 창원공단 방산업체들이 위기상황이다. 방위산업계의 활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 지 오래지만 이제 ‘올 것이 왔다’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창원시에는 정부가 지정한 94개 방산업체 중 20개사가 몰려 있다. 이들 업체들이 기존 생산라인을 유지하기 힘들 정도로 최근 일감 부족에 처했다는 것이다. 280여개의 협력업체에 불똥이 뛸 것은 뻔하다. 자금난에 내몰리고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창원시가 방위산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오는 2026년까지 3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한 것은 잘하는 일이다. 그러나 방산업체들은 생산 대부분을 수출 위주가 아닌 정부발주에 의존하고 있어 한계가 있다. 근본적으로 체질을 바꾸지 않고는 미래가 없다.

    업체들의 사정을 살펴보면 창원이 방위산업의 요람이란 말이 무색하다. K9 자주포를 생산하는 한화디펜스의 경우 정부가 발주한 물량이 올 상반기 중에 끝나 고용불안을 우려해야 할 처지다. 현대로템은 핵심부품인 파워팩(엔진+변속기) 국산화가 늦어져 생산차질을 빚고 있다. 이런저런 이유가 있지만 최대 구매처인 정부의 개발요건이 까다로운 것이 큰 장벽이다. S&T중공업의 사정은 더 딱하다. 변속기와 복합소총 개발이 제때 안 돼 지난해 12월부터 방산분야 인력은 3개월 단위로 순환휴직 중이다. 문제는 K9 자주포 등 생산 종료시점이 다가오고 있지만 대체무기 생산계획이 안갯속이라는 것이다. 남북평화체제가 구축되면 내수시장도 축소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정부가 찔끔찔끔 주는 물량조차 없으면 생산라인을 멈춰야 하는 이 같은 구조로는 위기를 돌파하기 어렵다.

    방위산업은 자주국방의 토대이자 유망수출산업이다. 민족의 주권을 지키고, 수출과 고용에 기여할 수 있는 산업이란 분명한 인식이 필요하다. 창원 방위산업은 악조건 속에서도 지역경제 버팀목 역할을 해왔다. 연구개발을 강화하는 등 장기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정부와 지자체의 체질개선책이 급하다. 외국에선 군 정비창이 사라지고 정비, 성능개량을 민간에 이양하고 있다. 업체들도 첨단무기 개발로 수출시장을 뚫는 것이 살 길이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