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맞춤 토박이말]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 (80) - 맞모금

  • 기사입력 : 2019-04-09 07:00:00
  •   
  • 메인이미지
    메인이미지


    오늘은 4281해(1948년) 만든 ‘셈본 3-1’의 44쪽, 45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44쪽 첫째 줄에 ‘맞모금’이 나옵니다. 이 말은 요즘 배움책에서는 ‘대각선’이라고 하기 때문에 낯설게 느껴지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둘째 줄과 셋째 줄에 이어서 하고 있는 “이 그림과 같이, 모와 모 사이에 그은 금을 ‘맞모금’이라고 한다.”는 풀이를 보면 바로 뜻을 알아차릴 수 있을 것입니다.

    앞서 요즘 배움책에서도 1학년에는 ‘세모’, ‘네모’라는 말을 쓴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라는 말은 누구나 알기 쉬운 말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절을 할 때 두 사람이 함께 같이 하는 절을 ‘맞절’이라고 하는 것을 안 다면 마주하고 있는 모는 ‘맞모’라는 것도 쉽게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금’도 ‘긋다’라는 움직씨에서 나온 이름씨로 ‘접거나 긋거나 한 자국’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마주하고 있는 모와 모 사이에 그은 것은 ‘맞모금’이라고 하는 것이 마땅할 것입니다. 말모이 사전에도 ‘맞모금’으로 쓰는 것이 좋다고 풀이를 해 놓았는데 왜 요즘 배움책에서는 ‘대각선’이라는 말을 쓰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갈배움(교육) 이야기를 하면서 아이들을 가운데 두어야 한다는 말을 합니다. 그렇다면 옛날 배움책에서 ‘맞모금(대각선)’이라고 썼던 말을 ‘대각선’으로 바꾼 것도 아이들을 가운데 두고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인지 묻고 싶습니다.

    거듭 말씀 드리지만 초등교육은 기초 교육이고 기본 교육이라는 것을 잊지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아이들을 생각해서 기초, 기본을 가르치는 초등학교 배움책에서는 쉬운 말인 ‘맞모금’이라는 말로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요즘 배움책 어디에도 ‘맞모금’이라는 말을 찾아 볼 수가 없으니 안타까울 뿐입니다. 요즘 ‘학력’을 놓고 서로 다른 이야기를 많이 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굳이 어려운 말로 가르치고 배우도록 해 놓고 그 말을 아는지 모르는지를 가지고 잘 가르치고 배웠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따지는 것은 아이들을 생각한 것이 아니라고 봅니다.

    쉬운 말로 가르치고 배우면 저절로 배우는 힘은 커지고 남는 겨를에 저마다 하고 싶은 것, 좋아하는 것들을 하며 기쁨과 즐거움을 느끼며 살 수 있을 거라고 굳게 믿고 있습니다. 이제는 쉬운 배움책 만들기에 힘과 슬기를 모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