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8일 (목)
전체메뉴

[기고] 대중교통을 공공교통으로- 전홍표(창원시의원)

  • 기사입력 : 2019-05-01 07:00:00
  •   
  • 메인이미지




    버스라는 명칭은 ‘만인을 위한’이라는 뜻의 옴니버스(Omnibus)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자동차가 출현하기 전, 마차는 비싼 재산이어서 귀족이나 부자가 아니면 서민은 소유할 수가 없었습니다. 1827년 프랑스 낭트시 교외의 온천장 경영자였던 보드리(Stanislas Baudry)는 손님을 모으기 위해 정해진 시각에 낭트시 중심가로 마차를 보내 수송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그는 온천까지 시간에 맞춰 다니는 마차를 운영하면서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타는 거다 해 아예 마차에다 ‘Omnibus’라고 써 붙였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세월에 씻기어 Omni는 날아가고 bus만 남게 됐습니다.

    오늘날 시내버스 또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표적인 대중교통 수단입니다. 시내버스는 대량수송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자가용 승용차가 수송하는 경우보다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날로 악화되고 있는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을 감소시키는 역할도 수행합니다. 그러나 자가용의 증가로 교통 혼잡이 가중되고, 늘어나는 교통량으로 인해 시내버스의 속도 저하와 함께 정확한 시간 확보가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승객은 승객대로 불편함을 호소하고, 운전자는 배차 시간 등에 쫓겨 불친절한 기사로 낙인되기도 합니다.

    우리의 시내버스 시스템은 오랫동안 민간 기업에 의해 제공됨에 따라 대중교통 서비스를 공공재가 아닌 민간재로 보는 시각이 큽니다. 그래서 불친절, 난폭운전, 과속 등 승객의 불편함을 줄이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또한 버스 기사의 근무 환경 개선을 개선하는 데도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버스라는 명칭이 ‘만인을 위한’이라는 뜻의 옴니버스 (Omnibus)에서 유래했듯 사람중심 창원시에서는 시내버스를 경제적 관점이 아닌 기본권 보장의 관점에서 대중교통 서비스를 이해하고 승객, 기사, 사업자가 하나 된 공공교통 서비스로 제공되어야 할 것입니다. 경제적 관점이 아닌 기본권 보장의 관점에서 대중교통 서비스를 이해해야만 안전하고 장애인 및 노약자가 이용이 편리한 사람 중심적 공공교통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서민의 발’ 또는 이동권 보장을 위한 최후의 보루인 대중교통 서비스의 공급비용을 요금수입으로 보전해야 한다는 경제적 관점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사람중심 창원시부터 대중교통을 행정과 협력하는 공공교통으로 전환해 나갔으면 합니다.

    시내버스 준공영제로 인해 막대한 재정 부담이 발생할 것이라는 지적도 있으나, 이동을 위한 기본권 보장과 공공성 강화를 위해 당연히 치러야 할 비용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전 홍 표

    창원시의원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