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0일 (토)
전체메뉴

[사설] 처리대책 시급한 남해안 해양쓰레기

  • 기사입력 : 2019-09-01 20:22:37
  •   
  • 바다로 흘러들어간 쓰레기가 해양생물을 죽이고 있다. 올 들어 필리핀 해안에서는 비닐봉지 40kg을 삼킨 채 죽은 아기 고래 사체가 발견됐고, 이탈리아에서는 임신한 암컷 향유고래 사체에서 플라스틱 22kg이 나왔다. 해양쓰레기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뿐만 아니다. 연근해 어선 사고의 10%는 해양쓰레기로 발생한다고 한다. 매년 바다로 유입되는 해양쓰레기로 환경오염과 선박사고 등 다양한 피해가 발생하자 경남도내 7개 연안시군에서도 처리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는 해양쓰레기 발생 원인과 발생량에 대한 정확한 통계조차 없다는 것이다. 해양쓰레기가 어민들의 골칫덩이가 된 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닌데 지자체가 그동안 이 문제에 소홀했다는 방증이다.

    바다를 끼고 있는 도내 시군에서는 지금까지 바닷가에 떠밀려온 쓰레기를 처리하는 데 급급했다. 바닷속 쓰레기에 눈을 돌릴 여력이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해양쓰레기가 바다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어민들은 조업중에 그물에 걸려서 올라오는 쓰레기가 2~3시간 작업하면 배에 더 놓을 장소가 없을 만큼 많다고 한다. 지난달 26일 정점식(통영·고성)의원 사무실에서 열린 해양쓰레기 간담회에서 어민들은 “해양쓰레기를 건져오면 지자체에서 제발 받아만 달라”고 하소연했다. 어민들이 건져온 해양쓰레기를 갖다 놓을 데도 마땅하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도내 해양쓰레기 정책은 인양쓰레기 수매사업과 선상집하장 정도다. 인양쓰레기 수매사업은 지자체별로 예산이 1억원에 불과해 어민이 가져오는 쓰레기를 수매하는 데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선상집하장도 임시보관장소로 이용하는 데 그치고 있다. 해양쓰레기는 사업장 폐기물로 분류돼 매립장 반입이 안 되고 소각이나 재활용업체를 통해 위탁처리해야 한다. 지자체 입장에서 t당 16만원이 넘는 처리비용도 무시할 수 없다. 늦었지만 경남도가 지난달 해양쓰레기 발생량 조사 및 대응 방안 수립 용역을 발주한 것은 잘했다. 넘쳐나는 해양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을 기대한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