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사설] 강 하구 ‘해양쓰레기’ 근원적 해법 모색해야

  • 기사입력 : 2020-07-14 20:14:16
  •   
  • 거제 지역구 미래통합당 서일준 국회의원이 도내 해양쓰레기 문제를 이슈화하고 나섰다. 경남 해양쓰레기 폐해는 비단 어제오늘만의 일이 아니라는 점에서 이목을 집중시킨다. 본지가 수차례 집중보도를 통해 고발해왔을 정도로 해안선을 낀 경남의 중대현안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동안 정부가 만족할만한 해법을 내놓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때문에 서 의원에게 거는 기대가 크다. 서 의원이 환경부와 해양수산부, 경남도로부터 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5~2019년 5년간 장마철이나 집중호우 때 낙동강을 거쳐 바다로 유입된 쓰레기는 8110t에 달했다. 5t 트럭으로 1600대가 넘는 엄청난 양이다. 각 지자체가 처리한 양으로는 거제 3593t, 통영 2394t, 고성 956t, 창원 525t에 이른다.

    해양쓰레기는 선박사고의 주된 원인일 뿐 아니라 바다를 오염시키고 생물체를 중독시키는 불청객이라는 점에서 소홀히 여길 문제가 아니다. 특히 90%가 넘는 플라스틱은 분해되지 않고 특정지역에 모이면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잘 알아야 한다. 가장 큰 문제는 생태계 교란이다. 고래나 바닷새가 먹이로 잘못 알고 과다 섭취해 겪는 고통을 부지기수로 목도하고 있다. 특히 썩지 않는 플라스틱은 오랜 세월 햇빛에 노출되면 잘게 부서져 더 많은 후유증을 낳는다. 이른바 ‘마이크로 플라스틱’은 플랑크톤이나 작은 갑각류의 먹이가 되고 종국엔 생태계 최상층부인 사람에게 ‘플라스틱 중독’을 유발한다. 경악할 일이다.

    지구의 70%인 바다가 쓰레기로 교란되면 결국은 인간이 해를 입는다. 가볍게 여길 일이 아니다. 육상쓰레기의 바다 유입을 막는 근원적인 해법이 시급하다는 얘기다. 불가피하게 바다로 유입됐을 경우 지체 없이 수거토록 하는 매뉴얼 정립도 절실하다. 7월 장마와 9~10월 태풍은 육상쓰레기를 바다로 몰아넣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낙동강 하구 영향권인 창원 마산합포구 진동면 해역과 섬진강 하구 영향권인 하동 갈사만 해역이 도내 최고 취약지로 예상된다. 해양쓰레기가 도민 건강의 걱정거리가 되지 않도록 정부와 경남도의 항구대책을 촉구한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