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기고] 마을 활동가가 바라본 경남의 사회혁신- 황은영(마을 활동가)

  • 기사입력 : 2020-08-24 20:22:37
  •   

  • 나는 7년차 마을 활동가이다.

    나에게 처음 ‘사회혁신’이라는 말은 무겁고 어렵게 다가왔다. 사전적 의미는 제쳐 두고라도, 뭔가 대단하고 폭발적인 변화의 비장함마저 느껴졌다. 뿐만 아니라 사회혁신의 요건은 무엇인가? 주체는 누구인가? 대상은 어디인가? 도대체 왜 해야 하는가? 하는 끊임없는 질문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졌다.

    최근 나는 이러한 질문의 답을 찾았다.

    사회혁신이 제대로 실현되려면 그 가치를 담아낼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하며, 사회혁신을 시도하고 실현해 나갈 사람(전문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경남에는 경남도가 사회혁신 시스템으로 온·오프라인 도민정책제안플랫폼 ‘경남1번가’와 올해 설립한 공익활동지원센터, 사회적경제지원센터, 마을활동지원센터 등 분야별 중간지원조직이 있다.

    활동가 입장에서는 주민의 제안이 숙의를 거쳐 정책으로 탄생하는 과정을 지켜보는 것이야말로 혁~신바람 경험이다. 또한 현장의 상황을 잘 이해하고 활동가들을 지원해 주는 중간지원조직의 탄생은 업그레이드 된 내비게이션을 만난 느낌이다. 경남은 다른 지자체에 비해 사회혁신이라는 큰 틀을 이끌 풀뿌리 활동가들이 그리 많지 않을 뿐 아니라, 숨어 있는 활동가들을 찾아내는 일은 그리 만만한 일은 아니다.

    경남도가 사람을 찾고 길러낸 첫 시작은 아마 작년 제1기 사회혁신활동가대학이 아닐까 생각한다. 단일 교육과정으로는 꽤 긴 82시간. 주민자치와 숙의 민주주의, 새로운 회의 촉진방법과 합의의 과정에 이르는 퍼실리테이션 과정의 수준 높은 교육이었다.

    어설퍼 보였던 1기 수료생들이 지금은 어엿한 지역혁신의 중심에서 수많은 시·도의 주체가 되어 있다. 특히 퍼실리테이터로서 아주 작은 단위의 회의에서부터 대규모 기관행사까지 그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회의문화는 목소리 큰 몇몇 사람들이 주도해 회의 참여자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못했다. 충분한 논의를 거쳐 합의에 이르기보다는 ‘다수결의 원칙’이 만병통치약인 것처럼 오남용 되어 왔다.

    하지만 이제 경남의 곳곳에서는 퍼실리테이션 과정을 이수한 사람들이 회의문화를 바꾸는 데 앞장서고 있다. 이것을 단지 회의를 촉진하는 기법의 적용으로만 보아서는 안 된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바탕에는 상대의 의견에 대한 인정과 존중, 신뢰가 깔려 있고 이는 우리 사회가 앞으로 나아갈 가장 큰 성장 동력이다.

    도민들의 시간과 행정의 시간은 다르게 흐르고 기대치도 다를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함께 행복한 경남, 완전히 새로운 경남을 만들어 가는 주체로서 함께 협력하고 머리를 맞댄다면 사회혁신의 길을 탄탄하게 닦아 나갈 것이라 믿는다.

    황은영(마을 활동가)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