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춘추칼럼] 역사왜곡, 동북아 냉전 그리고 우리는?- 양무진(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기사입력 : 2020-10-29 20:16:24
  •   

  • 역사란 무엇인가란 책으로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영국의 정치학자 E.H. Carr는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정의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를 비추는 현재의 거울인 역사를 어떻게 정리하느냐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최근 6·25 전쟁에 대한 시진핑 주석의 언급이 논란이 되고 있다. 시진핑 주석은 중국의 6·25 참전 70주년 연설에서 6·25 전쟁을 제국주의의 침략으로 규정하고 제국주의의 침략확장을 억제하기 위한 항미원조의 정신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중국 지도자의 언급에 대해 단호하게 항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6·25 전쟁은 명백하게 북한의 남침으로 일어난 전쟁이다. 500만명 이상의 군인과 민간인의 사상자를 낸 한국 역사상 가장 슬픈 전쟁이다. 북한의 남침이라는 객관적 역사의 증거 앞에서는 중국은 물론이고 북한 자체도 남침에 의한 전쟁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

    문제는 명백한 사실이 있음에도 이를 다르게 기술하는 역사의 왜곡 현상을 우리는 경계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역사의 왜곡 현상은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상당히 많은 논란을 가져오고 있다. 일본은 제국주의·식민주의 시절 본인들이 자행한 많은 역사적 사실에 대해 후대에게 정확하게 전달하지 않고 있다. 여전히 독도 영유권을 터무니없이 주장하고 있으며 위안부·강제징용 등 과거사에 대해서 통렬하게 반성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 중국 역시 동북공정 등을 통해 과거 고구려와 발해의 땅이었던 지역의 역사를 왜곡해 왔다. 최근 강조하는 중국몽을 통해 중화민족주의의 부활을 위한 역사왜곡이 있지 않을까 우려된다.

    이처럼 정치적 목적을 위해 역사를 왜곡하는 현상이 동북아시아에서 유독 심한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역사의 잔재를 청산하기도 전에 밀어닥친 냉전의 여파와 현재까지도 그 냉전적 질서가 해소되지 않고 있는데 연유한다. 2차 세계대전의 발원지였던 유럽이 유럽 공동체로 발전한 것을 보면 참 대조적인 현상이다. 유럽의 경우 냉전기간 중 역사와의 과감한 화해를 시도하였다. 빌리 브란트 수상이 폴란드를 방문하여 무릎을 꿇고 사죄한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고 역사의 앙숙이었던 프랑스와 독일은 석탄철강공동체 형성을 시작으로 정치 공동체까지 일구어냈다. 잘못된 역사에 대해서는 통절하게 사죄를 구하고 또 그 반성을 겸허히 받아들이는 자세를 볼 때 역사를 대하는 유럽인들의 통찰력은 가히 본 받을만하다.

    동북아시아는 아직 냉전 중이다. 남북이 여전히 분단되어 있고 세계 1,2위의 초강대국인 미국과 중국의 세력다툼은 점입가경 수준이다. 대선 기간 중인 미국은 ‘중국 때리기’를 통해 미국인들의 결속을 호소하고 있고 중국은 이러한 공세에 밀리지 않으려고 몸부림치고 있다. 중국인들이 주장하는 70년 전 ‘항미원조’ 전쟁이 지금 다시 주목을 받는 이유는 당시 중국 참전의 명분이면서 현재 중국인들의 정서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시진핑 주석이 “침략자를 때려눕혀 신중국의 대국 지위를 세계에 보여줬다…주권, 안전, 발전이익이 침해되는 것을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중국 인민은 정면으로 통렬한 반격에 나설 것”이라고 언급한 것도 그런 맥락에서 이해된다. 중국 역시 70년전이나 지금이나 대미항전을 통해 정치적 체제결속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런 현상을 보는 우리는 매우 불편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되거나 바이든 후보가 당선되어도 미중 갈등이 쉽게 봉합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다. 문제는 이러한 미중갈등이 동북아시아의 신냉전으로 비화되는 것이다. 이럴 경우 ‘한미일 대(對) 북중러’ 구도가 고착될 가능성이 높으며 한반도의 분단선은 과거 유럽 동서냉전의 철의 장막처럼 견고한 미중 대립의 마지노선으로 굳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지정학적으로 강대국의 이해관계에 놓여있는 우리는 미국이냐 중국이냐를 선택하라는 강요를 요구 받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남북관계마저 한미관계와 북중관계 속의 틀에 갇혀 표류하게 된다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전진도 더욱 어려워진다. 우리로서는 강대국들의 역사왜곡 현상에 대해 분명하게 지적하는 것 뿐 아니라 미중갈등 속에 남북관계를 어떻게 풀어 나갈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여야 한다.

    양무진(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