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사설] 지방대 존립 위기, 지방 소멸 불러올 수 있다

  • 기사입력 : 2021-03-04 20:28:26
  •   
  • 지방 대학 소멸 위기가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점차 현실화하는 모양새다. 올해 도내 주요 4년제 대학의 2021학년도 신입생 최종 등록 현황을 종합한 결과, 국립·사립대를 가리지 않고 모두 작년 대비 감소세를 못했다. 국립대는 사립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나은 편이라고 하지만 사립대는 당장 등록률을 공개조차 하지 못할 정도로 상황이 엄혹하다. 학과 통폐합 등 구조조정을 단행한 대학도 있지만 등록률 저하의 파고는 이런 대책을 가볍게 뛰어넘고 있다.

    대학 관계자들은 학령인구 감소 등 불가항력적 요소가 가장 위협적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공감되는 대목이다. 올해 전국 대학 모집인원은 55만여명 정도인 데 비해 신입생은 재수생을 포함해도 47만여명에 그친다. 2011년 이후 매년 감소세를 보이는 수능 응시생도 2020년에는 전년비 4만6500여명, 2021년에는 5만5000여명으로 감소세가 배증됐다. 출생아 감소로 학령인구가 줄고 있는 현실에서 무조건 서울의 대학으로만 향하는 인서울(In Seoul)문화가 확산되고, 등록 학생들의 일부도 학기 중 수도권 대학으로 편입학하는 사례도 많아 사정은 더 나빠지고 있다.

    지방대학은 지역 교육의 산실이지만 단순히 교육만 하는 곳은 아니다. 지역사회를 유지·발전시키는 싱크탱크이면서, 일정한 규모의 경제권을 형성하는 코어 역할도 한다. 그저 서울 중심의 학교 운영 경쟁에 밀려 자연도태될 수밖에 없는 곳이라는 ‘부당한 대접’을 받을 곳이 아니라는 말이다. 지방대 위기는 지방 소멸을 가속할 수 있는 한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결코 가벼이 볼 사안이 아니다. 저출산 시대라는 현실에 기반을 두고 지방대를 살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대학 재정난을 덜기 위해 시행하는 정부의 재정지원사업의 운용방식도 일부 변경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 핵심평가 평가 지표인 신입생 충원율을 일률적으로 적용할 것이 아니라 수도권과 차별화해 일정한 편차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공공기관의 지방대 우선 채용 비율도 상향하고 대학 내 유휴시설을 지역민의 평생학습공간으로 적극 활용하는 방안도 지자체와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다. 시간이 없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