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 154] - 장만하다, 갈무리하다, 날마다, 낯 ,살갗

  • 기사입력 : 2021-08-04 08:06:37
  •   
  • 도움=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오늘은 4285해(1952년) 펴낸 ‘과학공부 5-2’의 59쪽부터 60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59쪽 둘째 줄과 셋째 줄에 걸쳐서 나온 “손톱과 발톱은 왜 자주 깎아야 하는가?”라는 월(문장)은 모두 토박이말로 되어 있습니다.

    여덟째 줄과 아홉째 줄에 나온 ‘장만하는’과 ‘갈무리하는’은 참 반가운 토박이말입니다. 잘 아시다시피 ‘장만하다’는 ‘꼭 있어야 할 것을 사거나 만들거나 해서 갖추다’는 뜻을 가진 토박이말로 ‘먹거리’와 아랑곳한 말과 자주 만나는 말입니다. ‘갈무리하다’는 ‘물건 따위를 잘 정리하거나 간수하다’는 뜻으로 흔히 ‘저장하다’라고 하는 말을 갈음해 쓸 수 있는 말이면서 ‘일을 처리하여 마무리하다’는 뜻도 있는 토박이말입니다.

    열째 줄과 열한째 줄에 있는 ‘벌레가 우리 몸에 들지 않게 해야 한다’에서 ‘들지 않게’는 요즘 흔히 쓰는 ‘침입하지 않게’를 쉽게 풀이해 쓴 말이라고 하겠습니다. 열한째 줄 끝에서 열둘째 줄에 걸쳐 나오는 ‘벌레 없애는 약’도 요즘 쓰는 ‘구충제(驅蟲劑)’를 쉽게 풀이한 좋은 보기라고 생각합니다.

    그 다음에 이어지는 “배 속 벌레 없애는 약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도 ‘약’을 빼면 모두 토박이말로 된 월이고 맨 마지막 월인 “우리는 날마다 여러 가지 일을 하고 있다”도 모두 토박이말로 되어 있습니다.

    60쪽 둘째 줄과 셋째 줄에 걸쳐 나오는 ‘직혀 나가는 사람’은 요즘 말로 ‘지켜 나가는 사람’인데 옛날에는 그렇게 썼나 봅니다. 다만 첫째 줄에 있는 ‘매일’은 앞서 쓴 ‘날마다’를 썼더라면 더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어서 나오는 ‘아침’, ‘저녁’, ‘밥’과 같은 토박이말도 반가웠고 다섯째 줄에 있는 ‘뒷간’은 앞서 보여드린 적이 있지만 다시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여섯째 줄에 있는 ‘낯은 언제 씻고’는 요즘 많이 쓰는 ‘세수’라는 말보다 더 알맞은 말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세수(洗手)’는 한자 뜻대로만 풀이를 하면 ‘손을 씻음’인데 흔히 ‘얼굴을 씻음’이라는 뜻으로 더 많이 쓰기 때문입니다. ‘낯’이라는 좋은 토박이말을 제때 알맞게 쓰면 좋겠습니다.

    이어서 나온 ‘이는 언제 닦는가?’, ‘몸에도 좋을 뿐 아니라’, ‘일도 잘 된다’도 토박이말을 잘 살린 말이라 반가웠습니다.

    열둘째 줄과 열셋째 줄에 걸쳐 나온 “몸을 깨끗이 하고, 깨끗한 옷을 입자”도 모두 토박이말로 된 월입니다. 그 다음 월인 “우리 몸에는 언제나 기름기가 살갗 밖으로 나온다”도 ‘기름기’의 ‘-기(氣)’만 빼면 모두 토박이말로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나온 ‘기름’은 ‘지방’을, ‘살갗’은 ‘피부’를 가리키는 토박이말이라는 것도 앞서 나왔기 때문에 잘 아실 거라 믿습니다.

    열다섯째 줄 끝에서 열여섯째 줄에 걸쳐 나온 ‘된 일을 하며는 몸에서 땀이 나온다’에서 ‘된’은 ‘일이 힘에 벅차다’는 뜻을 가진 토박이말 ‘되다’가 바뀐 말이라는 것을 아시면 얼마나 알맞은 말인지 바로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토박이말을 잘 살렸을 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쉽게 풀이를 해 놓은 옛날 배움책을 잘 보고 배워서 우리 아이들에게 쉬운 배움책을 만들어 주어야겠습니다.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