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8일 (목)
전체메뉴

[성산칼럼] 말 많은 세상- 김시탁(시인)

  • 기사입력 : 2022-07-20 20:32:03
  •   

  • 이 세상에 하고 싶은 말을 다 하면서 사는 사람 있을까요. 말은 하고 나면 책임을 져야 하는데 아무 말이나 내뱉어 놓고 나 몰라라 한다면 세상은 무책임한 말에 파묻혀 질식할 겁니다. 그러니 스스로 한 말은 반드시 책임을 진다는 각오가 있어야 하겠습니다. 한 번 한 말은 없어지지 않고 이리저리 굴러다니며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심지어는 새끼를 치고 그 새끼가 커서 다시 어미를 찾아갈 수도 있습니다.

    따뜻한 말은 사람을 행복하고 편안하게 해 주지만 얼음처럼 차가운 말은 원성을 사거나 증오심을 유발하지요. 디자인이 잘된 단정한 말을 부드럽고 명확하게 풀어내면 사람에게 감동을 줍니다. 말은 표면이 거칠어도 문제지만 너무 매끄러워도 신뢰가 가지 않습니다. 너무 뾰족하고 날카로운 말은 사람을 다치게 하니 흉기나 다름없고 너무 뭉텅하고 두루뭉술한 말은 초점을 흐리게 해서 이목을 분산시킵니다.

    말의 장단도 중요해서 칭찬도 길면 지겹고 설교도 길면 죄인도 구원받길 포기합니다. 짧은 말은 아쉽지만 지겨운 것보다는 낫겠습니다. 말은 입 밖으로 내놓기 전에 생각을 좀 하는 게 좋을 듯합니다. 황소가 여물을 한 번에 삼키지 않고 되새김질을 오래 하듯 말도 입속에서 밖으로 내보내기 전에 되새김질을 통해 최종 점검을 하는 습관을 기르면 어떨까요.

    세상으로 시집보낸 말이 제대로 임자를 만나 사랑 받고 호강하며 잘살게 될지 단박에 소박맞고 쫒겨날지 되새김질을 하면서 판단해보면 말로 인한 실수는 줄일 겁니다.

    직설적인 말은 이해는 빠르지만 재고할 기회를 놓쳐 잃는 것도 많지요. 직강이 바다에는 빨리 닿지만 곡강처럼 천천히 흐르며 강둑의 야생화에 눈을 주고 향기에 취하다가 강바닥의 자갈을 만지며 물풀의 생머리 결을 쓰다듬을 순 없으니까요. 그렇다고 너무 둘러 가는 말도 답답하고 지루해서 집중력이 떨어지니 말의 요지를 잃게 됩니다.

    말도 살이 있고 근육이 있고 뼈대가 있어서 앉아야 할 말과 누워야 할 말, 죽은 듯이 잠들어있어야 할 말이 따로 있지 않습니까. 궁둥이를 땅바닥에 붙이고 펑퍼짐하게 앉아 기다려야 할 말이 말벌에 엉덩이 쏘인 염소 새끼처럼 팔딱거린다면 낭패지요. 말은 용도에 따라 적정하게 쓰일 때 가치를 발휘하는 법이니 수위를 벗어 나고 처신에 맞지 않은 말은 지탄을 받게 됩니다. 아무 말이나 마구 한다고 다 말이 되면 무슨 말인들 못 하겠습니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로 쏜 미사일이 잘못 날아와 여의도 국회의사당에 떨어지고 그 의사당을 싹 밀어서 임대아파트나 지었으면 좋겠다는 말인들 못하겠습니까.

    무책임한 말은 말이라고 해도 말 같잖아서 외면받고 몰매를 얻어맞게 됩니다. 그러니 말을 잘 만들어야지 아무 잡자재나 써서 함부로 생산해 놓으면 각이 생기고 뼈가 굳어 도로 삼켜도 속이 거북해서 소화가 되지 않습니다. 어쨌든 말 많은 세상에 말 같지 않은 소리 듣고 살지 않으려면 내 입에서 생산하는 말부터 질 좋은 재료로 잘 빚어야 하지 않을까요.

    잘 다듬고 광내고 좋은 옷 입혀 내보내면 ‘그 참 좋은 말 종자다’ 하고 서로 분양받아 키우며 새끼 치고 번성할 테니 말입니다. 그런 새끼들끼리 짝지어주고 사돈 맺으면 세상이 좀 더 건강하게 밝아지지 않을까요. 말은 그 사람을 담는 그릇과 같은 것이니 내부족자기사번(內部足者基辭煩) 심무주자기사황(心無主者基辭黃)이란 말을 하겠지요. 내면의 수양이 부족한 자는 말이 번잡하며 마음에 주관이 없는 자는 말이 거칠다고 말입니다.

    지금 입안에 굴리고 있는 말이 있다면 천천히 되새김질해보십시오. 단물이 입안에 흥건하게 고일 때까지 꿀꺽 넘기지 마시고 도로 삼켜야 할지 뱉어내야 할지 고심하는 것입니다. 굳이 말이 필요 없을 때는 남의 말을 경청하며 침묵하는 것도 말실수를 줄이며 대화에 참여하는 좋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 말 많은 세상은 탈도 많으니 내 입에서 나온 말이라도 무탈해야지요. 입안에 자꾸 단침이 고입니다.

    김시탁(시인)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