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8일 (목)
전체메뉴

[기획] 완공 앞둔 경남사회적경제혁신타운 (하) 역할과 활용방안

“사회적기업 역량 키워 경남형 사업 개발해야”
지역 사회적경제 주체들 한자리
효율·확장성 커져 응집력 강화

  • 기사입력 : 2022-11-28 21:06:22
  •   
  • 코로나19로 위기를 겪으며 국가의 공공정책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됐다. 경제, 사회 전 영역에서 ‘잘 사는 것’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확산되는 추세다. 위기에 봉착하자 이윤을 추구하는 민간기업은 직원과 활동을 축소하고 투자자 역시 자본의 이해관계 지키기에 급급했다. 코로나라는 팬데믹을 겪으면서 사회적경제 역할이 대두되는 까닭이다.

    내달 문을 여는 경남사회적경제혁신타운(이하 혁신타운)은 사회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회 가치와 혁신을 실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취지에 부합하는 역할과 운영방안에 대해 모색해본다.

    지난 7월 제4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에 참가한 경남지역기업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경남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지난 7월 제4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에 참가한 경남지역기업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경남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도내 사회적경제 ‘허브’ 기대= 입주공간, 교육공간, 회의실, 실험공간, 체험장, 판매장 등으로 꾸려진다. 지역 곳곳에 퍼져 있던 사회적경제 주체들을 한자리에 모으는 것은 효율성과 확장성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경남의 사회적경제가 응집력을 강화된다는 긍정적인 시그널로 읽힌다.

    경남은 2022년 사회적기업 육성 우수 자치단체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괄목할 만한 성장이지만 보완할 점도 보인다. 대표적으로 많은 기업이 겪는 금융지원이다. 사회적경제 조직 중 사회적기업의 58%, 사회적협동조합의 49%가 수도권 외 지역에 있지만, 서민금융진흥원의 사회적금융 중개기관, 사회투자펀드 중개기관 등이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혁신타운 내 구성원들이 경남 사회적경제조직에 투자시, 운용사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거나 지역기반 우수 조직 지원 비중을 확대하는 방안 등이 필요하다.

    ◇전문 인력 키워야= 인력양성 역시 기대된다. 전문 교육체계를 마련해 비즈니스 혁신을 위한 금융지원과 컨설팅·창업지원, 연구조사 등 혁신활동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가능하다. 사회적경제 활동가와 실천인력을 키우는 교육과정을 통해 혁신타운이 인력양성 중심으로 방향성을 잡으면 시설 활동도를 높일 수 있다. 이렇게 배출된 교육 인력은 활동가와 기업가의 현장에서 혁신타운 기능·역할을 홍보하고 확산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학생과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개설 땐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사회적경제기업 ‘자생력’ 강화= 혁신타운은 사회적경제기업과 관련 조직들이 일정한 지역에 함께 모여 사업적 성공과 사회적 가치, 사회혁신을 확산, 실현하기 위해 조성됐다. 혁신타운은 지역 사회적 경제의 하드웨어 역할뿐만 아니라, 관련 기업들의 구심점이 될 전망이다. 사회적경제기업들의 창업부터 도약, 성장까지 논스톱 지원이 가능해진다.

    사회적경제기업들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우선 과제다. 기업 규모의 영세성, 자생력 부족, 정부 의존성 등이 한계로 손꼽힌다.

    아울러 공공기관의 제품 의무구매 제도화, 온라인 판매채널 확대 등 협력한다면 사회적경제기업 전체의 성장도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간 도내 사회적경제 발전에 힘쓴 경남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가 올해 문을 닫는다. 이 역할의 일정 부분을 혁신타운에서 소화해야 한다.

    ◇경남형 사업모델 개발= 전문가들은 그간 특정분야에 집중된 사업모델을 경남형으로 개발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경남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는 “경남은 농업과 제조업 분야 사회적경제 육성이 가능한 점이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강점이다. 농업 중심인 서부 경남에서 발전 가능성이 있다”며 “농업과 사회적경제가 결합하면 또 다른 형태 기업이 나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문화, 교육, 과학분야 사업에 자생력을 강화하고 환경·신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 모델 발굴이 필요하다. R&D 인재 사업모델 등 혁신 역량을 확충을 통해 민간과 공공판로를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투명성 역시 강조된다. 지난 1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새로운 시민사회경제정책포럼’에서 송남철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창업육성본부장은 중간지원조직에 제기되는 문제를 기득권화와 정치화라고 언급했다. 송 본부장은 “‘기득권화’는 새로운 조직이 진입하기 어렵고 접근성이 낮다는 뜻이다. 또, 중간지원조직 자체가 정책에 따라 휘발성이 높아 보이긴 한다. 조직 운영을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만들고, 주체들의 공공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민주 기자 joo@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 관련기사
  • 정민주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