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경제인칼럼] 수산물 방사능 전수검사가 필요한 이유- 김민성(피앤제이시스템㈜기술전문위원)

  • 기사입력 : 2023-06-04 19:44:04
  •   

  •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방류를 대비해 국민 불안을 해소하고 수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일은 정부의 당면 문제다.

    2021년 해양수산부가 발표한 국내 수산물 유통현황을 보면 수입을 제외한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94만1000t, 양식업 233만3000t, 원양어업 43만9000t, 내수면 4만2600t으로 양식과 내수면 생산량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자료를 인용해 국민 1인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이 58.4㎏으로 일본보다 앞선 주요국 중 1위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럼에도 올해 정부의 수산물 방사능 검사 목표는 8000건이다. 이 검사건수로 수산물의 방사능 오염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 생긴다.

    현재 국내 운영 중인 고순도게르마늄 검출장비(HPGe)는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지방청(6개소, 검사소 17개소),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및 지원(14개소), 식품의약품안전청 인증 기업에서 운영하고 있다. 고순도게르마늄 검출장비(HPGe)는 전량 수입 제품으로 대당 가격이 높고(약 2~5억원) 유지 관리가 어려우며 장비를 운영하는 검사원의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또 이 장비 1대당 하루 약 8건(신속법 48건)의 검사가 가능한 것도 제약으로 작용한다. 시민들의 불안은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우리나라 식품의 방사성 핵종(방사성요오드, 방사성세슘)별 허용 기준은 ㎏당 100베크렐(Bq) 이하로 관리하고 있다고 하지만, 유통되는 수산물 중 무작위 샘플 1㎏만 검사하기에 그 결과만으로는 수산물의 안전을 믿을 수 없다는 게 중론이다.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어패류에 대해 생산단계 수산물 안정성 조사는 점진적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지만 방류된 인체에 유해한 방사성 물질인 세슘, 요오드, 삼중수소 등은 바닷물에 희석되더라도 없어지지 않는다. 이들 물질은 해양생태계 먹이사슬을 거치며 어패류들에 농축되고 종국에는 우리가 섭취할 위험이 있다. 일본이 방류를 결정하면 국민의 80%가 수산물을 섭취하지 않겠다고 한 설문 결과도 나온 적이 있다.

    예상되는 피해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모니터링, 일본산 수산물 원산지 표시 지도, 단속 강화에 더해 수산물 전수검사 신속검사 장비 도입이 필요하다.

    수산물 신속검사장비는 현재 운영 중인 고순도 게르마늄 검출장비(HPGe)와 연동해 먼저 신속검사장비로 측정 대상에 대한 대량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신속검사 후 일부 샘플은 정밀검사를 운영하는 방법을 도입한다면 측정 수산물 전체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수산물 안전성 불안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전수검사 결과치 또한 각 지자체 및 공공기관에서 시민들에게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어 시민들이 안심하고 수산물을 섭취할 수 있고 아울러 직간접적으로 우리 수산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한다.

    바다에서 이루어지는 가두리양식장의 환경 생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비부터 어획 및 양식 어류들에 대한 생산 단계에서부터 최종 소비자까지 가는 유통 채널에 수산물을 전수검사할 수 있는 장비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러한 일련의 추가 검사가 온전한 해결책은 아니다. 하지만 추가 조치가 시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것은 물론 이중 안전장치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김민성(피앤제이시스템㈜기술전문위원)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