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18일 (목)
전체메뉴

[금요칼럼] 마산에 '아파트 공장특구' 만들자 - 이선호 (수석논설위원)

  • 기사입력 : 2007-05-25 09:44:00
  •   
  • 마산 돝섬이 몇㎝ 가라앉았다고 한다. 몇 차례 국화축제로 타지역 관람객들이 대거 몰렸기 때문이라는 우스개다. 하지만 외지인들은 한나절 잠시 머물다 떠난다. 떠나는 사람은 이들만이 아니다. 마산시민들도 마산을 등지고 있다. ‘오동추야 오동동’으로 불야성을 이뤘던 오동동 뒷골목 통술집 거리는 썰렁하다 못해 황량하다. 이곳 ‘문화시범의 거리’ 초입에 깨진 채 방치된 보도블록에서 마산의 현주소를 읽을 수 있다. 우스개에 오히려 비애감이 묻어난다.

    마산시의 인구는 40만명선을 위협받고 있다. 올 3월말 현재 41만9천762명이다. 지난해 말에 비해 통계상 정확히 2천21명이 줄었다. 대규모 재건축 바람으로 인근 시군으로 이사를 간 일시적 현상?. 웃기는 소리다. 마산시가 이 지경이 된 데는 삼척동자도 다 안다. 마산을 대표했던 기업들이 하나. 둘 사라졌다. 교육도시로서의 명성도 가물가물하다. 인근 도시에 비해 ‘삶의 질’ 운운하기조차 부끄럽다. 인구 50만명으로 구청제가 실시됐던 지난 90년도 마산의 모습은 아련한 추억일 뿐이다. 어릴 적 ‘마산의 노래’를 부르며 자랐던 한 사람으로서 자괴감이 든다.

    사람이 모여들려면 가까이에 먹고 살만한 일자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은 상식이다. 그런데도 어렵사리 바다를 메워 늘려논 매립지엔 모텔들이 즐비하다. 죽을 쑤고 있다는 소식은 어쩌면 당연할 것이다. 여기에다 기업이 떠난 대단위 부지를 비롯 곳곳엔 아파트단지가 건설 중이거나 계획 중이다. 살 사람도 없는데 아파트만 짓는 시정이 한심하다는 비아냥도 들린다. 완공된 아파트도 미분양이 적지않은 터라 우려의 목소리가 나올 만하고 설사 누군가 새 아파트로 이사를 한들 마산의 인구는 ‘제로섬’이 될게 뻔하다. 외부 유입에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각설하고. 마산에 ‘아파트 공장특구’를 제안한다. 주상복합단지나 공장 터가 모자라 도심에 아파트형 공장을 짓는 것과 같은 이치다. 다만 주거단지인 아파트 내에 따로 저공해 공장을 만들자는 것이다. 알다시피 마산의 공업지역 면적은 518만㎡로 창원. 양산. 거제. 김해. 진해. 사천에 이어 도내 7번째다. 중리공단과 봉암공단은 포화상태로 확장은 엄두도 못낸다. 땅값도 평당 200~300만원선이고 임대가격도 만만찮다. 그렇다고 기업들이 시 외곽지역으로 옮기는 것도 간단치가 않다. 진북산업단지가 우여곡절 끝에 하반기에 분양에 들어가지만 공장용지난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이다.

    아파트내 공장특구는 훌륭한 일터가 될 수 있다. 창원 팔룡동 주택가 반지하에선 대기업 협력업체들이 전자. 전기 등의 부품조립에 여념이 없다. 아파트 내에서도 공간만 제공된다면 저공해. 친환경 상품을 충분히 조립. 생산할 수 있다. 계획 중인 아파트 건설업체의 경우 한 棟(동) 정도 아파트형 공장을 만들거나 기존 아파트 단지는 주민들의 의사를 물어 어린이 놀이터 등을 활용하면 될 것이다. 탁아소를 갖춘다면 금상첨화다. 아파트 주민들에겐 일자리를 제공해서 좋고 기업들은 종업원 거주와 기술자 수급문제. 물류비 부담 등을 덜 수 있어 마다할 리 없을 것이다. 아파트 공급 업체들도 ‘일자리가 있는 아파트’로 분양 광고를 해보라. 기업과 연대해 아파트 주민들을 우선 채용한다면 분양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지자체는 지자체 대로 여성·고령자 등의 실업해소와 함께 막대한 공업단지 조성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대기업 유치도 게을리해선 안되겠지만 중소규모 기업들이 일자리 창출엔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물론 법상 규제로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 당장 주거지역에 따른 제약이 있을 것이고 환경. 노동문제 등도 장벽이다. 비현실적이란 지적도 나올 수 있다. 그러나 발상을 전환하면 못할 것도 없다. 아파트내 공장은 주민들과 친숙한 공간이 되도록 짓기 나름이다. 일본은 주택가 곳곳에 소규모 공장이 들어서 있고 ‘장수풍뎅이 특구’. ‘서치라이트형 복지시설 특구’ 등 500여개의 크고 작은 특구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다행히 우리도 지난 2004년 9월부터 지역특구제도를 시행 중이라 국가 차원에서 규제완화와 개선이 가능하다. 과문한 탓에 일일이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어렵다. 이는 祿(녹)을 먹는 공무원들의 몫이다. 마산을 일자리 걱정 없는 도시. 일자리를 찾아 오는 도시로 만들자. 이선호 수석논설위원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이선호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