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8일 (목)
전체메뉴

폭락장에도 ‘채권형 펀드’는 미소

미국발 금융위기 등 주식시장 변동성 커지자 안전자산 투자 선호
안정성은 국공채 … 고수익 추구 땐 하이일드 채권

  • 기사입력 : 2008-09-22 00:00:00
  •   

  • 미국발 금융위기가 터지면서 투자자들이 적지 않은 피해를 보고 있다.

    지난 16일 파산한 리먼브라더스의 위험성이 지난해 10·11월부터 잠재돼 왔으나 국내 증시로서는 미리 감지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즉 갑작스런 미국발 충격에 국내증시가 무너지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였다.

    미국발 금융위기가 터지기 전만 하더라도 과대 낙폭주 등을 눈여겨볼 만하다는 전문가들의 진단도 나왔지만 현재 같은 상황 속에서는 이마저도 오리무중이다.

    주식의 폭락장 속에 펀드도 편하지 않다. 하지만 미국발 금융위기 속에서도 채권형 펀드는 큰 무리가 없다는 게 증권업계의 관점이다.

    이참에 채권형 펀드로 갈아타는 것은 어떨까.

    ☞ 채권형 펀드는

    경기가 하강 국면에 접어들면서 다시 채권형 펀드의 시대가 오리라는 전망이 지난 16일 있은 미국발 쇼크 전부터 나왔다.

    사실 최근까지도 채권형 펀드의 수익이 그리 신통치는 않았다. 시중금리가 상승하면서 지난 7월까지만 해도 일부 연기금의 채권형 펀드 환매가 나오기도 했다. 2006년 이후 최근까지 채권형 펀드의 부진이 이어졌지만, 앞으로는 상황이 달라지리라는 기대감이 크다. 현재의 높은 금리가 국내 경기 침체에 따라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고, 금리 하락은 곧 채권시장 강세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채권형 펀드는 회사채, 국채, 금융채, 투기등급의 하이일드(고수익 고위험) 채권 등 투자 대상에 따라 다양한 상품이 출시돼 있다. 최대의 안정성을 추구한다면 국공채 위주의 펀드가 적당하고, 저금리 문제를 해결하면서 세금 혜택에 관심이 있다면 고수익 고위험 채권 펀드에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

    주식시장이 큰 폭의 변동성을 보이자 투자자들 사이에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 현상이 커지고 있다. 원래 주식과 채권은 보완적인 관계로 경제학 용어로는 ‘대체제’라고 할 수 있다. 즉 광우병 파동처럼 쇠고기에 문제가 생기면 돼지고기를 많이 찾게 되는 원리와 비슷하다.

    채권과 주식의 가장 큰 차이점은 만기존재 여부이며 최근처럼 채권금리가 급락하게 되면(채권가격은 상승) 1년 이상 장기채권펀드가 단기채권펀드보다 수익률이 더 높게 된다. 또한 신용등급이 높은 채권보다는 신용등급이 낮은 채권을 가진 펀드가 더 공격적으로 운용된다.

    개인 소액투자자를 위해서 증권회사들이 채권형 펀드를 판매하고 있다. 주식형 펀드처럼 적립식도 가능하며 금액은 자유롭다. IMF이전만 하더라도 투자신탁 회사들은 거의 90% 이상을 채권형 펀드 위주로 운용했다. IMF 이후 채권형 펀드의 규모가 급속도로 줄어들었고 최근 주식형 펀드 열풍 이후에는 상황이 완전히 역전됐다.

    100억원 이상 운용되는 채권형 펀드는 40개 내외인 반면 주식형 펀드는 1200개나 넘는다. 즉 현재 각 증권사들이 판매하는 상품은 거의 대다수가 주식 또는 주식과 관련된 파생상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번 미국의 금융위기 이후 조속한 안정을 위해 FRB가 연말까지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향후 금리가 하락한다면 채권 투자자들은 좋은 호기를 맞게 된다.

    최근 국내 금리시장은 큰 폭의 변동성을 보이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채권금리 하향 추세는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 힘을 받을 가능성이 많다.

    올 상반기(1~6월) 주요 시중은행에서 인기리에 판매된 펀드들의 수익률이 줄줄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는 최근 3개월 동안 수익률이 30% 넘게 떨어진 펀드도 있었다.

    ☞ 하반기 금리 전망은

    금리는 올해 말까지, 또는 당분간은 현 금리 수준을 유지하거나 물가 상승 부담여부에 따라 소폭의 상승압력이 있을 수 있겠지만 내년부터는 경기둔화에 따른 금리 하향안정세를 내다보는 전망이 많았다.

    HI투자증권 마산지점 김철우 지점장은 “최근 외국인의 채권 매도에 따라 금리가 큰 폭의 상승을 보였지만 이것은 일시적 현상으로 보인다”며 “조만간 공공요금의 상승 등에 대처하기 위한 기준금리 인상이 전망되지만 유가 급락과 감세를 통한 경기부양책 등으로 상승압박은 낮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김 지점장은 “단기적으로는 제한적인 금리 상승 가능성에, 중기적으로는 추가 하락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투자에 임하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 기본적인 분산투자 전제

    그러나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금융위기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자 분산투자에 대한 철저 대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선진시장, 이머징시장, 국내시장, 어떤 시장도 마음 편하게 투자하기가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며 더욱이 부동산시장 전망도 크게 좋게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HI투자증권 창원지점 김상수 지점장은 “보수적인 전략으로 현금 및 MMF(머니마켓펀드) 등으로 자산의 안정성을 높여두면서 회복기를 대비할 것”을 권했다.

    전강준기자 jkj@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전강준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