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8일 (목)
전체메뉴

나의 작품을 말한다 (21) 경남대 음대 박재수 교수

“우리 문화 담긴 전통가사를 현대음악으로 표현하죠”

  • 기사입력 : 2011-01-07 00:00:00
  •   

  •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의 접목.

    끊임없이 우리 가사를 서양음악에 접목하려는 시도를 했다.

    고유 정서와 시대정신의 균형 감각을 잃지 않을 때 진정한 의미의 작품은 가능하다는 확신 때문이다. 즉 전통적인 수법만을 고집해서도 시대성이 결여될 것이고, 현대음악 어법을 맹종해도 국적불명의 음악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소재와 현대적인 양식의 절충으로 귀결됐다.

    전통가사로 합창곡을 작곡하는 경남대 박재수(63) 교수. 2010년 경상남도 문화상을 수상한 그는 우리 고유의 정서가 담긴 옛 노래 가사가 지닌 내재율에 감정을 이입하는 작업을 통해 우리 음악을 발전시키고 있다.

    그의 작품세계는 알기 쉽고 간결한 작곡과 현대음악에 나타나는 허구적이고 과장된 요소나 구조적 복잡성을 배제하는 데 주력한다.

    기술적으로 계산된 음의 구조와 평이성을 통해 현대음악의 난해성을 극복함으로써 청중들에게 의미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큰 흐름 속에서 그의 작품 ‘가시리’는 이별의 애절한 정을, ‘이상곡(履霜曲)’은 남편을 여의고 고독과 수심에 젖어 가신 님을 그리며 일편단심 저승길의 재회를 기약하면서 임에 대한 환상과 번민에 떠는 여인의 심정을 그렸다.

    ‘서경별곡(西京別曲)’은 헤어지기를 못내 아쉬워하며 울며 따르려는 연모의 정과 정작 떠날지라도 떠나는 임에 대한 애원을, ‘청산별곡(靑山別曲)’은 아무리 삶이 괴롭고 생활이 어려울지라도 생에 대한 집념은 버릴 수 없는 것이기에 체념하면서도 애써 자위를 얻으려는 몸부림을, 그리고 ‘내당(內堂)’에서는 깊숙한 규방에 갇혀 사는 여인들의 정념을 노래했다.

    또 ‘玉비녀’, ‘진달래 꽃’, ‘논개’ 등…. 이 모두가 우리 민족의 한, 아니 한국 여인의 한을 노래했다.

    박 교수의 소재는 전통한국의 문화요, 표현은 현대음악(서양악)이다.

    대표적으로 ‘성황반(城皇飯)’, ‘내당’, ‘대국 1·2·3(大國一·二·三)’ 등은 무당의 노래다. 당시 전통적인 무곡의 가사를 도입해 이를 현대적인 작곡기법으로 합창곡으로 표현했다.

    박 교수가 작품 중 가장 애착이 가는 작품은 혼성4부 합창곡 ‘성황반’이다. 원래 성황반은 서낭단에 서낭상을 차려 놓고 신에게 제사를 지낼 때 부르는 노래였다. 이는 중국의 성지 수호신으로 일찍이 고려조에 들어와 재래 고유의 샤머니즘인 산신과 마을 수호신이 결합돼 널리 퍼지면서 민간신앙이 되어 나라의 안위를 염원하며 제사를 지낼 때 부르는 무곡이었다.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수록된 가사를 도입해 당시의 상황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현한 작품이다. 이 곡은 지난 1994년 부산현대음악제에 입상작품으로 선정되는 영광을 얻었으며, 당시 음악계 발전에 새 기틀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전통적인 가사로 합창곡을 만들다 보니 우여곡절도 많았다. 특히 무당의 노래인 성황반에 관한 에피소드는 많다. 경남신문 주최로 1986년 대우합창단 초청연주회에 ‘가시리’와 ‘성황반’ 2곡을 마산·충무·진주에서 연주하기로 하고 작품이 대우합창단으로 넘어가 연습에 들어갔다. 그런데 당시 대우합창단의 연습이 윤학원 선생이 다니던 교회서 행해졌는데 우연히 그곳을 지나가던 교회 목사가 합창 음악소리에 놀라 “어찌 성전에서 이 무슨 해괴망측한 무당음악이 웬일이냐”고 해서 한바탕 난리가 났다.

    2007년 마산시립합창단 제44회 정기연주회 위촉곡으로 민족적 패배감에 젖어있던 식민지 백성들에게 논개의 우국충절을 보여줌으로써 민족의식을 고취시켜 주었던 ‘논개’와 일제 강점기에 상실과 절망을 시로써 저항하며 민족혼에 희망을 준 윤동주 시인의 ‘무서운 시간’의 연주는 잊을 수 없다고 말한다.

    또 제42회 향신회 정기 작곡발표회에 ‘무서운 시간’이 김해시립합창단에 의해 부산문화회관에서 재연주되었는데, 창작합창곡을 소개하는 이 음악축제에 호평을 받았고, 이 곡은 10월 ‘2007년 대한민국창작합창축제’ 때 세 번째 연주되면서 청중들의 환호와 뜨거운 갈채를 받았다.

    박 교수는 생애 최고의 희열을 느꼈고, “음악은 내 인생에서 최고의 선택이었다”고 생각했다. 이 ‘무서운 시간’으로 대한민국창작합창축제 조직위원회로부터 영예의 작곡상을 수상했다.

    박 교수는 작곡을 할 때 ‘전곡에 대한 구상’을 하고 ‘무엇을 쓸 것인가’를 고민한다. 끝으로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라는 보다 구체적인 단계를 거친다. 시 해설과 함께 시에 관한 모든 정보를 입수하고, 시를 읽으면서 키워드와 정점에 해당하는 클라이맥스를 찾아 시어에 리듬을 붙인다. 이때 무엇보다도 시에 내재된 운율적인 악센트와 박절적인 악센트가 일치되도록 한다.

    결정된 리듬은 5·6음 음계에 의해 높낮이가 정해지고, 이렇게 해서 수평적인 선율이 만들어지면 전체 시에 대한 선율이 완성되어 음악의 골격이 정해진다. 다음 단계는 수직적인 화음배치를 통해 4부 합창 음악을 만들어간다. 물론 4도 화성을 중심으로 합성화음을 활용하고, 수직적인 음악 결합에 의한 음향적인 효과에 역점을 두면서 화음을 배치한다. 곡 전체의 짜임새는 정적인 부분에는 대위법이, 이와 대조가 되는 동적인 흐름과 클라이맥스 구성은 화성적인 기법이 동원되면서 점차 합창음악으로 형상화시킨다.

    박 교수의 창작에 대한 영감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얻는다.

    때로 음악가의 작품을 읽고 듣고, 음악이론이라는 표현의 수단을 통해 악상을 얻기도 하고, 음악회에서 대가의 작품이나 창작곡을 듣고 자극을 받거나, 혹은 시를 읽으면서 강한 동기를 부여받았을 때 곡을 써야겠다는 강한 충동을 느낀다.

    작품에 대한 강한 창작 충동이 일어나면 모든 것을 떠나 한 달 정도 깊은 산사에 가서 곡을 쓰기도 한다.

    또 지휘자에게서 많은 조언을 듣는다. 전 서울시립합창단 상임지휘자 최흥기 선생, 전 부산시립합창단 상임지휘자 이상열 선생, 마산시립교향악단 상임지휘자 백진현 선생, 그리고 차문호 교수 등은 음악세계를 깊이 있게 이끈 고마운 분들이다.

    끊임없이 조언을 받는 이유는 아카펠라 합창의 경우 반주가 없기 때문에 소리의 공백을 효율적으로 메워가는 기교나 곡 해석의 견해차를 통해 결함을 보충받을 수 있고, 특히 기악곡인 경우 표현방법, 특수 주법이나 기법, 그리고

    악기편성에 관한 의견교환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고교시절 피아노 배우는 친구를 따라 피아노 교습소에 간 것이 계기가 되어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하면서부터 음악과 인연을 맺은 박 교수는 경희대 음대에 진학하면서 본격적으로 음악을 공부했다. 대학 때는 주로 음악이론을 거치면서 습작 정도였고, 졸업 후 대학원에 다니면서 여기저기 작품 공모에 곡을 쓰면서 본격적으로 곡을 쓰기 시작했다.

    박 교수가 생각하는 음악의 순기능은 우리들의 상처받은 마음을 치유해 준다는 것이다.

    음악에 대한 태도는 남다르다. 오르막이 있다면 내리막이 있듯, 삶은 늘 좋은 일만 있는 것은 아니고, 때로는 힘들거나 어려울 때가 있는데 그때마다 음악은 큰 위안이 된다. 기쁨을 노래하기보다는 슬픔을 노래하는 경우가 많은 것도 음악이 인생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절망하거나 고통을 받을 때마다 차이콥스키의 ‘비창 교향곡’이나 베토벤의 ‘합창 교향곡’을 듣고는 많은 공감을 갖게 된다”고 말한다. 이는 우리가 살아 있는 한 괴로움이 없을 수 없고, 괴로움은 사람들이 그것을 서로 나누는 데서 위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베토벤을 존경한다는 박 교수는 “그는 우리에게 불후의 음악만 남겨준 것이 아니라 수많은 불행과 때로는 고뇌와 싸워 이를 극복하면서 살아온 그의 생애는 우리에게 보다 더 큰 인간적인 희망과 용기를 주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 박재수 교수는= 1948년 출생. 68년 마산고 졸업. 74년 경희대 음대 졸업. 78년 연세대 대학원 석사. 93년 미국 오클라호마대학 석사. 81년~현재 경남대 음대 교수. 76년 ‘강강수월래’ 78년 ‘가시리’ 발표. 78년 ‘성황반’ ‘광야’ 발표. 83년 합창곡 ‘옥비녀’ ‘논개’ 발표. 85년 두 개의 바이올린을 위한 2중주곡 ‘Symmetry for Two Violin’ 발표. 87년 ‘서경별곡’ 발표. 94년 ‘진달래 꽃’ 발표. 94년 박재수 합창곡 제2집 ‘청산별곡’ 출판. 98년 ‘가던 길 멈추고’ ‘사모곡’ 발표. 박재수합창곡 제3집 ‘도봉’ 출판. 98년 마산 개항 100주년 기념 ‘도봉’ 발표. 76년 ‘강강수월래’ 제8회 서울음악제 합창부문 작품공모 입상. 78년 ‘가시리’ 제10회 서울음악제 합창부문 작품공모 입상. 94년 ‘성황반’ 제3회 부산현대음악제 합창공모 입상. 2007년 ‘무서운 시간’ 대한민국창작음악제 작품상. 2010년 경상남도 문화상 수상.

    글=김용대기자

    사진=김승권기자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용대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