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어떻게 돼갑니까- 김해 안동공단 의생명단지 조성사업

올 11월 용역결과 따라 추진계획 재조정
개발비용 부담 민간기업 꺼려
기존 업체 인위적 이전도 곤란

  • 기사입력 : 2011-03-28 01:00:00
  •   
  •  
    김해시 안동공단 전경./경남신문 DB/


    김맹곤 김해시장이 선거공약사업으로 내걸었던 안동공단 첨단의생명단지 조성사업이 임기 내에는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을까.

    안동공단은 동부권인 안동과 어방동, 지내동 일대 230만㎡ 규모(886개 업체)로 김해의 발전과 애환을 함께해왔다.

    하지만 김해의 양적팽창으로 안동공단이 오히려 발전에 걸림돌로 부상하면서 공단 이전과 함께 주거지로 개발 등이 추진됐지만 진전을 보지 못하자 새로운 공약이 나왔었다.

    이 공약도 시의 재정사업을 통해 추진할 경우 천문학적인 예산이 수반되면서 현실적으로 어렵고, 민자유치 방식 또한 주변의 여건이 성숙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민자사업자의 참여와 기존 업체의 인위적 이전이 어려워 현실적인 벽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이에 김해시는 첨단의생명단지 조성사업을 보다 장기적인 계획을 통해 추진하는 방식으로 선회하고 주변 주거지역과 친환경적으로 공존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첨단의생명단지 조성 배경= 안동공단 문제가 본격 부상한 것은 1996년. 지난 1968년 한일합섬 김해공장 입주로 조성되기 시작한 안동공단이 1989년 추가로 구획정리방식으로 개발된 이후 공단지역 인근에 주택이 들어서면서 각종 환경성 민원이 제기됐기 때문. 2000년 이후엔 동서균형발전 방해요인, 도심 공해 유발 주범 등으로 부각됐다.

    김해시는 이에 지난 96년 안동공단 내 업체들의 시외곽 이전을 포함한 ‘김해시 장기도시기본계획’을 수립, 2016년까지 4단계로 나눠 안동공단 이전계획을 수립한 뒤 지지부진하다가 지난 2006년 김종간 시장이 당선되면서 구체화됐다. 김 시장은 공단 전체를 1~4단계로 나눠 이전하고, 이곳을 주거지로 재개발하는 사업을 추진했다. 1단계로 옛 국제상사 일대 사업지(31만㎡)를 먼저 이전하기로 하고 지난해부터 보상과 함께 착공에 들어가기로 했지만 사업비만 1조2000억원으로 엄청나 민간업체가 참여하지 않아 불발로 끝났다.

    이 때문에 김맹곤 시장은 민자유치를 통한 주거단지 리모델링 계획은 건설경기침체 등으로 어려워 김해의 입지여건 등을 감안, 1단계를 우선 의생명산업특화단지로 조성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김해 의생명센터가 지난 2008년부터 운영되면서 자리를 잡고 있고, 인제대와 백병원, 부산시장 등을 잘 연계하면 신성장 사업으로 발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국비 확보가 가능토록 의생명특화단지로 우선 지정받고, 의생명산업 관련 기업유치로 개발비용도 상당부분 충당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추진상태는= 김해시는 안동공단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동부권정비 기본계획수립용역을 지난 1월 발주했다. 공약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 용역결과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것이다.

    올 11월 결과가 나오는 이 용역의 발주와 관련, 안동공단 재개발사업은 현 시점에 민간기업 참여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돼 건설경기 호전 및 대체 이전부지 확보(테크노밸리, 일반산업단지)시까지 1단계 사업완료시기를 조정(2015년 이후)하거나 기존 기업체의 첨단의생명단지 등의 업종변경 지원 등 장기추진 계획 재수립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첨단산업 기업유치와 대학과의 클러스터 형성으로 연구 개발위주의 도시첨단산업단지로 도시재생 방안을 모색한다는 방침이지만 참여 가능 대학의 여부 등이 미지수로 남아 있다.

    첨단산업단지의 장기추진과 함께 공단종사자 및 거주자의 생활편의를 위한 부족한 시민휴식, 문화, 교육, 녹지공간 등 기반시설 확충계획도 수립하고, 주변의 만성적인 교통해소 대책 수립 및 시가지 교통분산을 위한 산복도로 계획과 연계한 동부권역의 종합적인 정비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김해시 관계자는 “안동공단을 새로운 첨단산업단지로 곧바로 조성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워 장기적 계획수립을 통한 공단재개발과 함께 주변의 쾌적한 삶을 위해 획기적인 신주거환경 조성을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명용기자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이명용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