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8일 (목)
전체메뉴

[금요칼럼] 이제는 디레버리징에 신경써야 할 때이다- 홍정효(경남대 경영학부 교수)

  • 기사입력 : 2014-07-18 11:00:00
  •   
  • 메인이미지




    레버리지(leverage)의 사전적 의미는 지렛대이나 금융분야에서 레버리지는 가계, 기업, 금융기관 등의 각 경제주체들이 은행차입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기업과 금융기관들이 외형, 즉 자산을 늘리는 전략으로 자기자본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은행차입 등 타인자본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1997년 이전 국내 기업들은 주로 자기자본보다는 타인자본 조달을 통해 외형 확대를 도모했다.

    경영전략적인 관점에서 적절한 타인자본 조달, 즉 레버리지는 기업의 성장에 약이 될 수 있으나 과도한 차입은 금리상승기에 기업의 재무구조를 매우 악화시킴으로써 최악의 경우에는 부도까지 직면하게 한다. 1997년 무렵 우리나라 제조업체의 부채비율은 500% 수준으로 매우 높은 상태에서 외환위기라는 외풍이 발생하자 수많은 기업들이 시장에서 퇴출된 바 있다.

    1997년 이후 국내 제조업체들은 혹독한 구조조정 등을 통해 재무구조가 지속적으로 개선돼 최근에는 국내 제조업체의 평균부채비율이 100% 수준으로 낮아지는 등 재무구조가 상당히 건실해져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최근 가계부문의 부채규모는 2014년 1분기 기준 1025조원 수준으로 이는 개인가처분소득 대비 130%를 웃도는 수준으로 매우 심각한 상태이다. 특히 소득 증가율보다 가계부채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고 은행 대비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비은행권의 비중이 2008년 43% 수준에서 2013년에는 50% 수준에 도달하는 등 양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 모두 우려되는 대목이다.

    가계부문 외에도 지방부채는 안전행정부에 의하면 2012년 기준 100조원 수준으로 증가했으며 인천, 대구 및 부산의 예산 대비 부채비율이 모두 30% 이상으로 매우 우려할 만한 수준에 도달했다.

    전국 244개 광역 및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평균재정자립도는 2009년 53.6%에서 2014년에는 45% 수준으로 급격히 하락했다. 서울 (80.4%), 인천(62.1%) 및 부산 (50.5%)을 제외한 나머지 광역시는 모두 50% 이하이고 기초시의 경우 평균 31.7%로 매우 열악한 상태이다.

    과도한 부채로 인한 지자체 파산은 해외에서 먼저 경험했다. 2005년 일본 홋가이도의 유라비시는 3530억원의 부채, 2013년 7월 미국 최대 공업도시였던 디트로이트시는 약 18조원의 부채로 인해 파산한 바 있다. 이들 도시들의 파산은 대부분 경제성 없는 사업에 대한 무리한 투자와 과잉복지 등으로 발생했으며 파산 후 공공요금 인상 및 대민서비스 질 저하 문제가 발생했다.

    지금은 전 세계적인 저금리 상황으로 인해 각 경제주체들이 견딜 만한 상황인 것으로 보이나 미래 일정시점 미국의 중앙은행이 경기회복에 따른 양적완화를 종료하고 인플레이션 문제 해소를 위해 금리인상을 단행하는 경우 이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소규모 개방경제 체제인 국가의 금리인상을 촉발시킴으로써 결국 과도한 부채를 가지고 있는 각 경제주체에게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현금유보 등을 통하여 재무구조가 상대적으로 건실한 기업들보다는 소득취약계층에 속하는 가계부문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클 것으로 사료된다.

    위험은 부지불식간에 각 경제주체들에게 오게 된다. 모든 것이 유비무환이다. 높은 수준의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각 경제주체들은 부채규모 축소, 즉 디레버리징(deleveraging)을 통해 재정건전성을 도모함으로써 어떠한 외풍에도 견딜 수 있는 체질을 스스로 갖춰 나가야 할 때이다.

    홍정효 경남대 경영학부 교수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