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6일 (금)
전체메뉴

[진단] 경남주력산업 위기 극복 해법은?

경남TP 기능 강화·공무원 전문성 높여야
산업육성 정책수립 핵심기관 경남TP
정원 묶여 인력 부족 등 경쟁력 저하

  • 기사입력 : 2018-06-28 07:00:00
  •   
  • 메인이미지
    경남테크노파크 전경./경남신문DB/


    조선·기계 등 경남 주력산업의 회생을 위해 경남 산업육성과 기업성장지원의 중추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남도와 경남테크노파크의 역할에 대한 재정립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경남도와 경남테크노파크는 경남산업 육성과 기업성장지원을 이끌고 있는 혁신기관이다. 경남도가 경남 전략산업의 정책입안과 사업관리를 하고, 경남테크노파크는 산업육성 정책수립을 지원하고 이를 실행·집행한다. 다시 말해 경남도가 경남 산업경제의 기획(머리)을, 경남테크노파크는 손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공무원 조직에 비해 전문가 기관인 경남테크노파크의 조직과 인력이 탄탄해야 전체적인 업무과정이 원활하게 이뤄진다.

    그런데 현재 경남의 경우 조직이 거꾸로 돼 있는데다, 경남도 공무원의 전문성이 떨어져 지역산업의 위기대응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먼저 지역산업 육성조직과 관련, 조선, 기계, 항노화 등 타 지역보다 산업범위가 넓은 지역산업의 특성과 규모를 고려할 때 경남테크노파크의 조직과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다는 지적이다.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홍준표 도지사 시절 채무제로를 위해 산하기관인 경남테크노파크에 대한 구조조정과 정원을 묶어놓고 조직도 못 늘리게 하면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경남도의 산업규모 등을 고려하면 경남테크노파크의 인력은 현재의 2배 이상은 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경남보다 산업규모 (기업체 수, 매출액 기준)가 적은 부산이나 대구와 비교해도 경남테크노파크의 인력(올 5월 현재 145명, 부산 182명, 대구 195명)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 단기 수탁 혹은 신규사업 등을 위해 기간제 인력도 많이 필요하지만 조직이나 정원을 강압적으로 묶어 놔 자율적으로 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경남테크노파크가 사업수행과 경남도의 정책개발 대응에만 힘을 쏟으면서 본연의 기업성장지원 역할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현재 경남경제가 위기로 치닫고 있는 이유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다른 관련기관의 관계자는 “기업인들은 경남도에 가는 것을 부담스럽게 생각한다. 때문에 소통이 쉬운 경남테크노파크가 편한데 인력이 적고 일에 매달려 있어 직접 접촉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경남테크노파크 기능과 역할을 확대하면 지금보다 훨씬 기업지원서비스가 나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역 연구소 관계자는 “경남도가 경남테크노파크의 인건비와 운영비의 일부를 직접 지원해 지역산업 육성과 기업 성장 지원 본연의 업무에 충실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경남주력산업 육성과 기업지원을 담당하고 있는 경남도 공무원들의 전문성에 대한 지적도 나오고 있다.

    산업분야의 관련 기술이나 트렌드는 흐름이 빨라 그에 따른 정책이나 대응방향에 대한 신속한 결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해당 산업분야에 어느 정도 전문지식과 경험을 축적해야 가능하다.

    하지만 도의 인사가 2년마다 이뤄지기 때문에 산업기술 분야를 접해 보지 못한 공무원이 이 분야를 담당할 경우 업무를 어느 정도 파악할 때가 되면 다른 부서로 옮기게 되는 일이 반복된다. 이같은 인사 시스템으로 인해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들은 산업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져 산업육성계획 수립과 신규산업 제안 등에 어려움이 많은 것은 물론이고, 중앙정부나 정부 산하 전문기관 등과 소통이 잘 안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산업도 시·도간 경쟁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런 조직운영으로는 경남이 정부의 각종 공모사업 등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

    특히 도 출연 및 산하기관을 잘 이해하고 운용하려면 기관특성을 잘 파악하고, 전문지식을 갖춰야 하지만 그렇지 못해 출연·산하기관 직원들이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도 많다고 관련 기관 관계자들은 전한다.

    지역 연구기관의 관계자는 “전문성을 갖추려면 산업육성 계획 수립주기가 5년 단위로 이뤄지는 만큼 산업분야를 책임지는 담당공무원은 최소 5~6년은 근무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를 위해선 개방직으로 공모하거나 기존 공무원 중에서 전문성을 갖춘 공무원을 선발해 인센티브를 주는 등의 방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명용 기자 mylee@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이명용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