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16일 (화)
전체메뉴

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866) 과이불개(過而不改)

-잘못을 하고서 고치지 않는다

  • 기사입력 : 2021-02-09 08:03:56
  •   

  • 흔히 사람들은 “내가 성인(聖人)이 아닌데, 허물이 없을 수 있나?”라고 하면서 자기가 저지른 허물에 대해서 변명을 한다. 사람은 누구나 허물을 저지른다. 하루 동안에도 알게 모르게 수없이 허물을 저지른다. 그러나 허물을 저지르고서 고치는 사람이 있고, 안 고치는 사람이 있다. 결과는 엄청나게 차이가 난다.

    공자(孔子)를 후대의 유학자들이 신격화해서 그렇지, 사실 공자도 처음에는 보통 사람이었다. 끝없는 자기 학습과 수양을 통해서 사람으로서 갈 수 있는 최고의 경지의 성인에 이른 것이다. 그래서 공자의 언행록(言行錄)인 논어(論語)에는 허물에 관한 말씀이 많이 나온다. “허물을 저지르고서 고치지 않는 것을 일러 허물이라 한다(過而不改, 是謂過矣)”, “허물을 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아라(過則勿憚改)”, “그 어떤 사람이 허물을 저지르는 것을 보고서 그 사람이 어진지 어질지 않은지를 알 수 있다(觀過, 斯知人矣)”, “안회(顔回)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같은 허물을 두 번 하지 않았다(有顔回者, 不貳過)”, “소인은 허물을 반드시 꾸민다(小人之過也, 必文)”

    공자가 허물을 자주 언급한 것은, 허물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했다는 것이다. 공자의 생각은 “사람은 누구나 허물을 저지를 수 있는데, 그 허물을 공개하여 고치고, 같은 허물을 반복해서 저지르지 않으려고 노력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고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허물을 고치지 않고 꾸미는 사람은 소인이 된다는 것이다.

    잘못을 저지르고서 고치지 않는 사람은 거짓말로 변명을 해야 한다. 한번 거짓말을 하면, 다음에 그 거짓말까지 또 변명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거짓말을 계속하지 않을 수 없게 되고, 상당히 괜찮던 사람도 결국 몹쓸 사람이 된다. 잘못에 대해서 솔직하게 인정하고 고치면, 점점 괜찮은 사람이 된다. 처음에는 아주 미세한 차이가 나지만, 나중에는 어마어마한 차이가 나게 된다.

    같은 허물을 두 번 세 번 반복하는 것은, 자기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고, 반성을 하지 않는 것이다. 사람과 동물의 차이는 사람은 옳고 그름을 분별하여 반성할 줄 알지만, 동물은 본능적으로 행동하지 판단을 해서 고치는 것이 없다. 허물을 두 번 세 번 반복하는 사람은, 결국 나쁜 사람이 된다. 모르고 하면 허물(過)이지만, 나쁜 줄 알고 하면 악(惡)이 된다.

    사법부의 최고책임자인 대법원장이 거짓말을 하고서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고 잡아떼다가 거짓말임이 들통이 나서 논란이 되고 있다. 장관(長官)이라면 한 부서의 최고책임자이고, 국무위원이 되어 국가의 큰 일을 심의 결정하는 데 참여하는 사람이다. 장관 후보자로서 인사청문회에 나온 사람들을 보면, 보통사람들보다도 못 하다. 그런 사람들에게 어떻게 나라 일을 맡길 수 있겠는가?

    정치(政治)라 할 때의 ‘정(政)’자는, ‘바르게(正)’ 되라고 ‘제재()’를 가하는 것인데, 여야를 막론하고, 바르게 처신하는 사람이 드무니, 개탄스럽다.

    *過 : 허물 과. 지날 과.

    *而 : 말이을 이. …하고서 이.

    *不 : 아니 불(부). * 改 : 고칠 개.

    동방한학연구소장

    ※소통마당에 실린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