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0일 (토)
전체메뉴

[세상을 보며] 남해안 해양쓰레기 공동대응 시급하다- 김호철(사천남해하동본부장)

  • 기사입력 : 2022-05-09 20:32:32
  •   

  • 해마다 집중호우로 발생하는 해양쓰레기가 남해안을 끼고 있는 지자체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해양쓰레기는 초목류, 일반쓰레기, 부표, 폐스티로폼이 대부분이다. 이 중에는 거대한 나무기둥 등 인력으로 처리하기 어려운 쓰레기도 많아 수거와 처리과정에 애를 먹고 있다.

    해양쓰레기는 해안가쓰레기, 부유쓰레기, 침적쓰레기 등으로 분류된다. 이는 자연환경 훼손과 해양생태계 파괴뿐만 아니라 선박사고 등을 유발하고 있어 해당 지자체들마다 각자 거액의 예산을 들여 처리하고 있다. 해양쓰레기는 대부분 외부에서 흘러 들어온 것으로 애꿎은 지자체가 피해를 보고 있는 실정이다.

    해양환경정보포털에 따르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해양쓰레기는 연간 17만7000t으로 추정된다. 이 중 육지에서 떠내려오는 쓰레기(육지유입)는 11만8000t으로 전체의 67%로 비율이 높다. 바다에서 흘러 들어오는 쓰레기(바다유입)는 5만9000t으로 33%를 차지한다.

    육지유입은 세부적으로 홍수기에 8만6912t, 평상시에는 2만4250t이 발생하고 있다. 해변에서 투기되는 쓰레기는 7275t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바다유입은 폐어구 4만4081t, 항만쓰레기 7560t, 양식용 폐부자 4382t, 선박생활쓰레기 2374t으로 추산된다.

    최근 3년간 평균 해양쓰레기 수거량을 분류해 보면 해안쓰레기가 7만8000t(69%)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바다 속에 쌓여 있는 침적쓰레기 2만9000t(25%), 바다 위에 떠다니는 부유쓰레기 7t(6%) 등으로 확인됐다.

    특히 집중호우, 태풍 등으로 발생한 재해 쓰레기 수거량은 2018년 1만4000t에서 2020년 4만8000t으로 3.4배 늘어났으며, 해안쓰레기 수거량은 2018년 4만8000t에서 2020년 11만2000t으로 2.3배 늘어났다.

    통계상으로 수거되지 못 하고 있는 해양쓰레기가 여전히 너무 많다. 매년 발생하고 있는 전체 해양쓰레기 중에서 6만5000t이 수거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 해양생태계 파괴로 인한 어패류 감소 등으로 어민들의 생존권까지 위협하고 있어 강력한 수거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해양관광 비중이 높은 남해군은 다른 시군보다 해양쓰레기로 인한 피해가 더욱 심각한 실정이다.

    해양쓰레기는 남해를 비롯한 하동, 사천, 고성, 광양, 여수의 해안 변과 섬 지역 곳곳에 쌓이고 있다. 남해군의원은 “자연경관을 파괴해 관광산업에 영향을 주고 있고 일부는 바다 밑으로 가라앉아 갯벌과 어패류 서식지를 파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남해군은 해양쓰레기 피해 예방을 위해 2020년 15억5569만원을 투입해 스티로폼과 폐그물, 어구, 플라스틱, 폐목 등 1810t을 수거했다. 지난해에도 16억7600만원을 들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막대한 돈을 쏟아 부어도 바다를 떠도는 해양쓰레기를 처리하는 것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와 같다.

    물론 남해안을 끼고 있는 하동군, 고성군, 사천시, 광양시, 여수시 등도 해양쓰레기로 골머리를 앓고 있고 해결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해양쓰레기 문제는 공동대응이 중요하다. 남해안의 지자체들의 해양쓰레기 해결을 위한 협의체 구성이 시급하다. 지난해 예산 공동 부담 수거선 운영 등 협의체 운영의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여전히 이뤄지지 않고 있어 안타깝다.

    김호철(사천남해하동본부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호철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