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8일 (목)
전체메뉴

[기고] 도 넘은 수질안전 불감증- 김휘태(전 안동시 풍천면장)

  • 기사입력 : 2022-09-21 19:24:21
  •   

  • 극한적인 녹조가 태풍에 완화됐다고 또 안이하게 넘어간다면, 머지않아 회복할 수 없는 인명피해를 당할 수 있다고 판단해야 한다. 외국이지만 집채만 한 코끼리가 우물의 녹조 신경독으로 350마리나 떼 죽음을 당했다. 남세균, 마이크로시스틴, 시아노박테리아 등으로 불리는 녹조의 맹독성은 청산가리의 100배, 금지된 살충제 DDT와 같다고 한다.

    최근 낙동강에서 검출된 이 마이크로시스틴은 상상을 초월하는 가공할 위협이다. 강과 논에서 5000ppb까지 무한대로 검출됐고, 쌀, 무, 배추 등 농산물에서도 2~3ppb, 정수장에서도 0.28ppb, 급기야 가정집 수돗물까지 0.17ppb정도가 검출됐다고 한다. 1ppb는 1ℓ당, 1㎏당 10억분의 1로서 모두가 선진국의 수질안전기준을 크게 초과했다.

    대한민국헌법 122~123조에 명시한 국토균형개발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백년대계인 치수 계획을 재정립해야 한다. 국토 10만㎢의 산야에 내리는 연간 1270억t의 빗물이 흐르고 지하수로 골고루 스며들도록 7만(기존 2만)개의 소규모 저수지를 분산시켜야 한다.

    그리고 국토의 70%가 산이므로 사방으로 산계곡을 층층이 막아서 넘쳐흐르면 도랑과 논밭으로 농업용수를 이용하고, 하천으로 자연정화작용을 하면서 흘러내려 깨끗한 강물을 생활용수와 공업용수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류지역의 녹조문제를 자연정화로 해결하고, 최상류의 제련소와 폐광산의 중금속 오염도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안동댐에서 정체되지 않았다면 낙동강 하류까지 중금속이 흘러내려 심각한 부작용이 일어났을 것이라 생각하면, 지금이라도 안동댐에서 100㎞ 최상류까지 중금속오염을 원천차단·제거할 특단의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최근 대구취수 문제도 바닥에 퇴적된 중금속을 그대로 두고 고인 물만 취수한다는 방식은 위험천만한 일이다.

    지난 2009년 경험한 하천유지수 부족 문제가 없도록, 안동댐 아래 경북도청지점에서 ‘강물순환방식’으로 취수해 지방광역상수도로 대구를 비롯한 상주, 구미, 칠곡 등으로 1차 정수처리·공급해 각 시군에서 2차 정수처리·급수하면, 전 지역이 지금보다 더욱 깨끗한 물을 마시고 유하거리가 늘어나 낙동강 수질도 개선할 수 있다.

    부산·경남지역도 상류이전 ‘강물순환방식’으로 식수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무리하게 엄청난 녹조 잡는다고 과다 투입한 염소 소독부산물인 발암물질 트리할로메탄이 0.05ppb까지 올라가 또 다른 암초를 만났다. 거기다가 마이크로시스틴이 수돗물뿐만 아니라 공기에어졸(미세먼지)이나 지하수로까지 전방위에 걸쳐서 침투하기 시작했다. 더 이상 수질안전 불감증은 공멸을 자초할 뿐이다.

    김휘태(전 안동시 풍천면장)

    ※소통마당에 실린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