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8일 (목)
전체메뉴

‘정어리 집단폐사’ 마산만에 빈산소수괴 측정망 생긴다

원인 규명·환경 데이터 축적 기대
빈산소수괴 발생원인 중 하나인
진해만 매립 실태조사 상반기 진행

  • 기사입력 : 2023-01-24 20:11:33
  •   
  • 속보= 지난해 10월 창원 마산만과 진동만 일대에서 발생한 정어리 집단폐사 원인으로 빈산소수괴(산소부족 물 덩어리)가 지목된 가운데, 국립수산과학원(이하 수과원)이 올 상반기 중으로 마산만까지 측정망을 늘리기로 해 폐사 원인을 규명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2022년 10월 26일 2면)

    이와 함께 진해만의 오염 실태를 파악하는 정부 차원의 실태조사도 올 상반기부터 진행될 예정이어서, 집단폐사와의 인과관계 규명은 물론 해양 정화까지 이어질지 관심을 모은다.


    ◇측정망 마산만에도 설치한다= 24일 수과원에 따르면, 수과원은 오는 4월까지 지난해 정어리가 집단 폐사한 곳인 마산만 3·15해양누리공원에 빈산소수괴 측정망 1곳을 설치하고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현재 측정망은 수산양식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남해 연안 6개 해역 16곳에 운영되고 있지만, 마산만의 경우 지난해 정어리 집단폐사가 일어난 점을 참고해 측정망을 설치하기로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정어리 집단폐사 원인을 규명하는 한편 마산만의 해양환경을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수과원은 기대하고 있다.

    김형철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해양환경 연구관은 “정어리 집단폐사와 같은 자연적인 현상이 예기치 못하게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좀 더 정확한 사실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측정망을 설치하기로 결정했다”며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축적한다면, 예를 들어 밀물과 썰물이 발생하는 조석 시점과 빈산소수괴가 발생하는 시점 등이 맞아떨어졌을 때 정어리들이 갇혀서 사망했다는 과학적인 규명이 이뤄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수과원은 추후 마산만 측정망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해 정어리 집단폐사와 관련한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수과원은 정어리가 대량 폐사한 마산만과 진동만에서 빈산소수괴 덩어리가 수심 4m부터 바닥까지 형성돼 있는 것을 관측한 바 있다. 이후 집단폐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진해만과 진동만 해역에 측정 지점을 늘리겠다는 방침을 내놨지만, 정작 정어리가 집단 폐사한 마산만 지점은 양식 등 어장이 없다는 이유로 제외돼 비판받은 바 있다.

    ◇진해만 오염 실태조사= 전문가들은 수질을 오염시키고 빈산소수괴를 발생시키는 원인 중 하나로 매립이 진행되는 항만 건설을 꼽고 있다. 특히 진해만 입구를 매립하는 개발 사업인 진해신항에 대한 우려가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부산신항이 위치한 진해만의 오염 실태를 파악하는 사업도 올 상반기부터 진행된다.

    해양수산부가 진행하는 ‘해양폐기물 및 해양오염퇴적물에 대한 실태조사’는 지난해 기준 전국해양 50개소에서 진행됐지만, 부산신항이 지어진 진해만에서는 이뤄진 적이 없었다. 경남에서는 지난 2016년 통영항과 2019년 거제 옥포항에서 실시된 바 있다.

    진해만 실태조사는 이달곤(창원시 진해구) 국회의원이 지난해 해양수산부 국정감사에서 진해만에 걸쳐 있는 사업을 점검하고 해양 안전과 대책을 세울 것을 요청하면서 마련됐다. 실태조사가 진행되면 관련법 시행규칙에 따라 해양폐기물과 해양오염퇴적물의 주요 오염원이 파악되고 오염 방지 대책 또한 수립하게 된다. 조사가 진행된 이후에는 정화가 필요한 구역을 지정해 대대적인 해양 정화 사업이 이뤄지게 된다. 해수부 해양보존과 관계자는 “올해 1분기에 사업에 착수해 4분기가 되면 오염 실태조사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기후위기로 해양환경이 지속해서 변화하는 탓에 앞으로도 정어리 단체 폐사와 같은 유례 없는 일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만큼 행정 차원에서도 후속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성진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사무국장은 “당장 다가올 여름 또한 우려되는 만큼 정어리 폐사 원인을 면밀히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어태희 기자 ttotto@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어태희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