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가고파] 이제 좀 바꿀까요?- 차상호(사회부장)

  • 기사입력 : 2023-03-09 19:34:23
  •   

  • 시작은 글을 보면서다. 후배가 써 온 기사 본문에 ‘당연한 순차처럼 보였다.’는 문장에서 ‘순차’라는 말이 어색해서 ‘수순’으로 바꿨다가 멈칫했다. 혹시 일본어인가? 늘 조심하고 바꾸려고 노력하지만 잘 되지 않는 것이 일본식 한자어 혹은 일본식 외래어다. 예를 들어 아파트 1800세대에서 ‘세대’는 일본식 한자어니 ‘가구’로 바꾸자고 늘 얘기하는데 막상 주변에 일본식 단어를 너무 많이 쓰고 있다는 걸 깨닫는다.

    ▼올해로 104주년을 맞은 3·1절에 즈음해 독립유공자에 대한 정부 포상이 이뤄졌다. 공적 조서를 보다 ‘상해가정부’라는 말에서 멈칫했다. 기독교 계통 항일단체로 현재 가치로 2억원이 넘는 독립운동자금을 상해가정부에 전달했던 대한민국애국부인회에 관련된 내용이었다. 이 단체에서 활동한 여성 독립운동가 중 3명이 이번에 포상을 받았다. ‘가’를 ‘임시’로 바꾸면 바로 이해가 된다. 상해임시정부.

    ▼일본어는 유난히 거짓 ‘가’를 많이 쓴다. 일본어의 잔재는 행정용어에도 남아있다. 신입 기자 시절 ‘가 내시’라는 표현이 무척 낯설었다. 순화하면 ‘임시 통보’가 된다. 예산이 확정되기 전 대략 이 정도의 예산이라는 것을 중앙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로 통보할 때 쓰는 말이다. 또 있다. 헤베와 루베. 모두 일본어다. ㎡와 ㎥를 뜻하는 일본어다. 언론에서도 여전히 남아있다. ‘사스마리’ 혹은 ‘사츠 마와리’다. 사츠는 경찰서, 마와리는 돌아다닌다는 의미다. 여러 경찰서를 돌며 사건, 사고를 취재한다는 의미로 쓰인다.

    ▼우리말도 처음 만들어진 그대로 쓰는 것이 아니라 시대가 지나면서 고쳐지기도 하고, 또 새로운 말들이 생겨나니 변하는 게 맞다. 그렇다면 일본어라고 해도 이미 우리말의 일부가 됐고 널리 쓰고 있으니 그대로 두어도 괜찮지 않느냐, 억지로 바꾸는 게 더 이상하다는 의견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생각해보자. 일본이 왜 그리도 창씨개명을 강요하고 우리 말을 쓰지 못하게 했는지를.

    차상호(사회부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차상호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