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5월 02일 (목)
전체메뉴

[진단] 창원 시내버스 사주 왜 자주 바뀔까

적자노선·낮은 요금→ 경영악화→ 노사불신 ‘악순환’
시 통합 명목 증차로 업체당 75억 손실… 타 지역 비해 요금인상 더뎌
버스업계, 전수조사 통한 노선 실수요 파악·버스요금 현실화 등 주장

  • 기사입력 : 2014-08-21 11:00:00
  •   
  • 메인이미지
    21일 오전 창원지역 시내버스가 승객을 태우기 위해 창원시 의창구 용호동 정우상가 앞 버스정류장으로 들어오고 있다./성승건 기자/


    지난 15일로 제일교통이 전면파업 후 운행을 재개한 지 정확하게 한 달이 됐다. 이후 노사는 ‘90일 이내 법인 양도·양수가 이뤄지도록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하지만 현재까지 인수를 희망하는 업체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창원시내버스업체 중 경영난으로 양도·양수가 됐거나 절차를 밟고 있는 업체는 마창여객(2012년 10월), 신양여객(2014년 1월), 제일교통까지 모두 세 곳이다. 2012년부터 1년에 한 업체 꼴로 주인이 바뀐 것. 게다가 아직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은 두어 개 업체도 이미 경영이 정상궤도를 벗어나 파업의 불씨를 안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진단이다.

    ◆방만경영이 문제?= 업체들이 겪는 어려움의 유형은 얼추 비슷하다. 수익금의 85%를 임금·연료비 등으로, 나머지 15%를 고정투자금 변제 등으로 지출해 급한 불을 끄고 나면 근로자들의 상여금·퇴직금 적립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고, 이 악순환이 장기화되면서 경영진에 대한 불신이 커진다고 업계는 말한다. 때문에 파업에 나섰던 기사들은 ‘경영진의 방만·불투명 경영’을 꼬집으며 업주에 대한 ‘구속 수사’를 요구했다. 정말 이들이 주장하는 ‘방만·불투명 경영’이 경영난의 직접적 원인일까? 근본적인 원인은 다른 곳에 있다는 지적이 많다.

    ◆수요·공급 불균형= 창원시는 지난 2012년 3월 통합창원시 110만 인구에 걸맞은 대중교통체계를 갖춘다는 명목으로 시내버스를 77대 증차했다. 이로 인해 창원시내버스협의회 9개사(대운·대중·동양·마인·마창·신양·제일·진해·창원) 기준으로 운행차량이 620여대에서 690여대로 늘었다. 증차된 77대는 북면·진북 등 지선에 배차했다. 현재 시 외곽을 오가는 지선은 103개, 배차된 차량은 353대다.

    하지만 이들 중 6개월(2014년 1~6월) 동안 수입금이 25만원에도 못 미치는 노선이 43개(배차차량 83대)에 이른다. 같은 기간 동안 수입금이 1만원도 안 되는 노선도 8개(배차차량 12대)에 이른다. 현재 창원시가 정한 버스 1대당 표준운송원가는 매월 57만5138원. 업체들은 6개월 수입이 한 달 운송원가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노선을 울며 겨자 먹기로 운행하고, 운송원가의 95%에 대한 적자를 시로부터 보전받는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시 재정도 악화되고, 업체는 업체대로 적자가 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업계의 주장이다. 창원시내버스협의회에 따르면 증차 후 대당 1일 평균수입금이 3만9200원 감소해 2012년 한 해 동안 전년 대비 9개사 평균 75억6300만원의 손실금이 발생했다.

    창원시내버스협의회 관계자는 “버스가 대중교통체계로서 수익성보다 공공성이 앞선다는 것을 부정하지는 않는다”며 “하지만 하루 이틀도 아니고 제 살 깎아먹으면서 계속 운행을 하겠느냐”고 말했다. 또 “전수조사를 통해 실수요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중복 지선 통폐합을 통한 감차·마을버스 활성화·환승 유도를 통해 시민들에게 불편을 주지 않으면서도 업계와 시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요금체계 문제 없나= 더디게 인상된 버스요금이 경영난을 부채질했다는 지적도 있다. 경남도는 지난 2011년 1월 4년 만에 1000원에서 1100원으로 버스요금을 인상했다. 이후 2013년 1월 다시 100원을 인상, 현재 도내 버스요금은 1200원이다. 부산은 2010년 11월, 경북은 2011년 1월 1000원에서 1200원으로 200원을 인상했다. 부산시는 2011년 11월 또 다시 1300원으로 인상했다.

    경상남도버스운송사업조합 추산 결과, 두 차례에 걸친 인상으로 같은 기간 부산·경북과 비교해 도내 버스업체 전체가 본 손실은 383억원이었다.

    한 업체 관계자는 “서민물가의 표준이 된다는 이유로 버스요금 인상을 꺼리면서 도내 버스 업계가 줄줄이 도산할 지경이다”며 “수익은 바라지도 않으니 현상유지는 되도록 요금을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차고지 이용료 가중= 공영차고지 입주도 문제다. 현재 덕동차고지는 대중 1개사가, 성주차고자는 동양·대운·창원·진해 4개사가 입주를 마쳤다. 하지만 입주 업체나 입주 예정인 업체 모두 이용료 부담이 상당하다고 토로한다.

    시는 공유재산 관리조례에 의거, 재산평정가격의 1000분의 25를 공영차고지 이용요율로 정하고 있다. 성주차고지 5억5000만원, 덕동차고지 4억원 가량으로, 한 회사당 평균 1억여원을 연 사용료로 지불해야 한다.

    한 업체 관계자는 “매달 2억원씩 적자가 나는데 1년에 1억원을 더 내라니. 이는 업체 경영개선에 도움을 주겠다는 차고지 조성 취지와 맞지 않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또 “울산·대전·광주 등 공영차고지를 가진 일부 시는 업계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사용요율을 1000분의 15로 낮췄다”며 “이래 죽으나 저래 죽으나 마찬가지니, 끝까지 입주하지 않고 버텨본다는 업체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김유경 기자

    bora@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유경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