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5월 04일 (토)
전체메뉴

창원산단은 국내 방위산업 ‘핵심 기지’

현황은 도내 52개사 중 34개사 포진

  • 기사입력 : 2014-03-31 11:00:00
  •   
  • 삼성테크윈의 K9자주포 생산라인./전강용 기자/


    국내 무기체계 전반의 국산화를 위한 기계·중화학공업단지로 설계됐던 창원국가산업단지가 국내 방위산업의 핵심 기지로 자리 잡았다.

    특히 지상전 무기체계를 주력으로 해서 해상·항공 관련 방산물자까지 생산되면서 2012년 기준 국내 방위산업 전체 매출액에서 30%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단일 산업단지로 국내에서 최대 규모다.

    하지만 현재 창원산단 내 방산업체들이 수주난 등으로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새로운 활로 개척을 위해 국가와 지자체 등에서도 함께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주요업체 포진= 창원산단은 한국 방위산업의 모태가 된 만큼 전국 대비 업체 수는 적지만 주요 업체들이 포진해 있다. 경남테크노파크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창원산단 내 방산업체는 모두 34개사(도내 52개)로 이 중 방산지정업체는 14개사(대기업은 도내 7개 중 5개, 중견중소기업은 도내 16개 중 5개), 일반 중소 방산업체는 20개사(도내 29개)로 집계됐다. 전국적으로 방산업체가 290여 개사(방산지정업체 96개 포함)인 것을 감안하면 많은 것은 아니다.

    2013년 산업연구원 방위산업 통계 기준 국내 방위산업 50대 기업(2012년 매출) 중 창원산단 기업은 13개사(도내 전체 19개)가 포함돼 있다. 이들 중 삼성테크윈과 두산DST는 세계 100대 방위산업체(한국우주항공, LIG넥스원도 속함)에도 속해 있다.

    이들 기업의 총 매출액은 3조3323억 원으로 2012년 방위산업 전체 매출액 10조8936억 원의 30.59%에 해당된다. 창원산단을 포함한 경남지역 50대 기업 매출액은 국내 방산 전체의 46.42%에 해당하는 5조570억 원을 기록했다.

    창원산단 내 방위산업체는 기계산업의 정밀가공·조립 기술을 기반으로 형성됐으며 화포, 포탄, 장갑차, 소형화기, 엔진관련 부품(미션기어, 샤프트, 주행 감속기, 구동축) 등 지상전을 위한 방산물자 생산을 주력으로 시작했다.

    창원이 지상전에 필요한 무기를 주로 생산하게 된 것은 방위산업 육성을 계획할 당시 가장 필요했던 방산물자인 소총, 화포가 기계·중화학 공업기술을 필요로 했기 때문이다. 즉 창원은 기계공업·중화학공업의 근원지이자 방위산업의 요새였다.

    현재는 지상전 무기뿐만 아니라 어뢰와 해군함정용 엔진 등의 해상용 방산물자와 항공기 외부연료탱크, 항공유압장치 등 항공 관련 방산물자까지 생산하면서 전방위 무기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정대철 경남발전연구원 박사는 “방위산업체의 밀집은 업체들마다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타 산업에 적용·응용될 수 있는 등 파급효과가 크고, 산업 자체가 섬세한 분야라 공정 자동화가 불가능해 고용창출 효과 또한 크다”고 말했다.

    ▲방위산업 자리 잡기까지= 1970년대 당시 한국은 남북관계의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주한미군 철수를 지지하는 분위기까지 형성되면서 방위산업 육성의 필요성을 실감하게 된다.

    이에 따라 1971년 제1차 한국군 현대화 5개년 계획과 중화학공업 육성정책을 연계한 방위산업 육성계획이 수립되면서 한국의 방위산업은 본격화됐다. 이때 조성된 것이 지금의 ‘창원공업단지’다.

    이런 이유로 1974년 창원산단에 처음 입주한 한국종합특수강(현재 현대비앤지스틸), 동양기계, 국제전광도 방위산업체였다. 이어 1975년 입주한 기아기공(현대위아), 대한중기(세아베스틸), 통일중공업(S&T중공업), 제일정밀(퍼스텍), 대우중공업(두산인프라코어) 등도 마찬가지였다.

    ‘자주국방’이라는 구호를 내세우며 시작된 방위산업 육성정책의 목표는 병기에서부터 탄약에 이르기까지 일체의 장비를 자급자족한다는 것이었다.

    미국의 적극적인 기술 지원 아래 조성된 창원공단은 재래식 병기의 국산화를 추진하기 시작해 M-16 소총, 방탄모자, 방탄조끼 등 개인화기에 대한 개발은 물론, 105㎜·155㎜ 곡사포를 비롯한 국산포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1980년대 대부분의 재래식 병기가 한국형으로 개량돼 국내 생산되는 단계로까지 발전했으며 이후 일부 고도 정밀무기까지 개발해 자체 생산하는 단계까지 도달해 현재는 말레이시아에 장갑차, 터키에 신형자주포 등 독자 개발한 무기를 수출할 정도로 성장했다.

    ▲새로운 활로 필요= 창원산단의 근간이 방위산업일지라도 민간산업에 비해 제약이 많아 성장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한 방산업체 관계자는 “국가만이 구매자인 데다 물량도 늘 일정한 것이 아니라서 안정적인 물량 확보가 어렵다”고 말했다. 실제로 국내 수요만으로는 방산업체의 가동률이 일반 제조업의 평균 가동률을 훨씬 밑도는 실정이다.

    또 이들은 업체들의 적정이윤을 보장해주기 위해 만들어진 ‘방산원가보장제도’도 문제라고 말한다. 원가검증을 거치기 때문에 마진이 적을 수밖에 없고, 물량이 없어 생산라인이 놀더라도 원가에 반영이 되지 않아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전문가들은 방위산업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해외로 시장을 넓혀야 한다고 말한다. 수출의 경우에는 원가보장제도가 적용되지 않고 비교적 물량도 많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해외시장 선점도 쉽지 않다. 수출경쟁력은 부품 등의 원천기술 확보에 있지만 현재 한국의 경우 대부분 해외 검증 제품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산업연구원의 ‘2013년 방위산업 통계 및 경쟁력 백서’에 따르면 2012년 기준 방위산업 수출액은 전년 대비 29.2% 증가한 1조1044억 원을 기록했지만 전체 매출액(10조8936억 원)대비 10%에 불과했다.

    강재관 방위산업학회 경남지회장은 “우리나라는 실패가 두려워 해외 검증제품을 사용하자는 분위기가 저변에 깔려 있다”며 “정부가 느긋하게 시간을 두고 방산기업의 자체 기술개발을 옹호하고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방산업체는 현재 지자체의 지원도 받을 수 없다. 방산업체에 대한 산업분류코드가 없기 때문이다. 그는 “시·도가 산업체에 지원을 하기 위해서는 산업분류코드가 필요하기 때문에 하루빨리 방산업체에 대한 분류코드를 정립해야 한다”고 했다.

    원천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고급인력 확보가 중요하기 때문에 부산경남과학기술원 등 전문 교육기관을 설립해 인력 공급을 원활히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최재형 경남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경남대를 비롯한 도내 일부 대학에서는 자체적으로 방산 관련 특화과정을 운영하고 있다”며 “시·도 등 지자체가 도내 대학의 특화과정을 지원한다면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김현미·이명용 기자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현미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