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5월 07일 (화)
전체메뉴

[사설] 환자 유치 혈안 요양병원, 안전관리는 허술

  • 기사입력 : 2014-05-29 11:00:00
  •   


  • 세월호 참사로 사회 전반에 안전이 강조되는데도 대형 사고가 이어지는 것은 우리 사회의 안전불감증이 깊숙이 자리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8일 전남 장성에서 발생한 노인 요양병원 화재는 21명이 숨지는 참사를 낳았다. 화재 발생 6분 만에 출동한 소방대가 초기진화했지만 참사를 피하지는 못했다. 환자 대부분 70~90대의 고령으로 거동하기가 힘들어 누워 있는 채로 유독가스를 들이마실 수밖에 없어 인명 피해가 컸다. 34명의 노인이 입원해 있는 병동에 야간 당직근무자는 1명에 불과해 환자를 긴급히 대피시키는 등 인명 피해를 줄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요양병원의 안전관리 실태가 허술한 데서 비롯된 인재의 성격이 짙다.

    고령화사회가 되고 노인성 질환자가 증가하면서 요양병원은 급증하는 데 비해 안전관리는 엄격하지 못한 부분이 많았다. 요양병원은 느슨한 개설 요건으로 공급 과잉이 되면서 환자유치 경쟁이 벌어지는 반면 환자관리 부실에 대한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일부 요양병원들은 환자의 안전관리는 뒷전인 채 입원비를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는 장기 환자 유치에 열을 올리기도 한다. 장기 환자들은 일부 중증환자도 있으나 대부분 노화현상으로 단순히 거동이 불편해 노인요양시설 입소가 더 적합하나 요양병원들은 이런 노인들까지 입원시키며 수익을 내고 있다.

    도내에도 요양병원 93개소 등 354곳의 요양 관련 시설이 있다. 사고만 터졌다 하면 도내 관련 시설을 점검하기에 바쁘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점검은 철저하고, 위반 내용에 대한 시정조치 등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지난해 경기도 포천의 요양병원 화재로 손 묶인 환자 1명이 숨진 후 이번에는 손을 묶진 않았을 뿐 환자가 숨지는 등 안전관리가 크게 나아진 점은 없어 보인다. 사고가 난 요양병원은 세월호 사고 후 병원 자체점검과 지자체의 안전점검에서 이상이 없었다는 사실은 점검이 부실 내지 형식적이라고 볼 수 있다. 요양병원은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이 많이 입원해 있는 특성상 적정한 야간 근무자의 배치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