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5월 12일 (일)
전체메뉴

가구당 평균부채 6천만원…청년·노년층 빚 빠르게 늘어

전체 상위 20%가 자산 59% 점유…은퇴연령층 빈곤율 50% 넘어

  • 기사입력 : 2014-11-15 08:18:27
  •   
  • 가구주가 30대이거나 30대 미만인 청년층과 60세 이상인 노년층 등 취약계층에서 대출이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면서 부채 경고등이 켜졌다.
    ?
    전체 가구의 자산 상위 20%가 자산의 59%를 보유하고 있을 만큼 부의 편중은 심각하고 은퇴 연령층 가구의 빈곤율은 50%를 훌쩍 넘어 새로운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 통계청은 14일 '201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같이 밝혔다.?

    ?


    ?

    3월 말 현재 가구의 평균 부채는 5천994만원으로 1년 전보다 2.3% 늘었다. 부채는 금융부채 68.3%(4천95만원)와 임대보증금 31.7%(1천900만원)로 구성된다.

    30세 미만 가구주의 부채는 1천401만원에서 1천558만원으로 1년간 11.2%, 30대는 4천890만원에서 5천235만원으로 7.0%나 증가했다.?
    ?
    60세 이상 가구주의 대출도 4천201만원에서 4천372만원으로 4.1% 증가했다.

    이는 취업을 제대로 하지 못한 30대와 30대 미만 청년층, 노후소득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노년층이 빚을 늘려 생활하고 있다는 의미가 될 수 있다.

    부채 보유가구의 21.3%가 1천만원 미만, 20.1%가 1천만∼3천만원, 12.9%가 3천만∼5천만원, 9.6%가 5천만∼7천만원, 6.3%가 3억원 이상의 부채를 갖고 있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은 21.5%를 기록했다. 소득의 약 20%를 빚 갚기에 쓰고 있다는 의미다.?
    ?
    전체 가구의 59.1%가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운데 주택 마련 목적이 36.0%로 가장 많았지만 사업자금이나 생활비 용도로도 각각 25.7%, 6.2%를 쓰고 있었다.

    1년 후 부채 전망에 대해 변화없을 것이라는 응답이 57.5%,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10.8%를 차지하는 등 비관적 전망이 많았다.?
    ?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가 71.8%(매우 부담 24.3%, 약간 부담 47.5%)로 1년 전보다 1.6%포인트 늘었다. 6.9%는 아예 '상환 불가능' 답변을 내놨다.?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3천364만원으로 1년 전보다 2.1% 증가했다.
    ?
    순자산 5분위별로 보면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이 9억8천223만원으로 전체 자산의 58.9%를 점유했다.?
    ?
    하위 20%인 1분위의 자산점유율은 전체의 1.7%에 불과할 만큼 계층별 양극화가 심각했다.

    상용근로자가 가구주인 가구의 자산은 3억5천116만원으로 임시일용근로자 가구( 1억3천462만원)의 3배 가까운 수준이었다.?
    ?
    지역별로는 서울의 가구당 자산 규모가 4억6천568만원으로 전국 평균(3억3천364만원)에 비해 1억3204만원 많았다. 서울은 가구당 평균 부채도 8천785만원으로 전국 평균 부채(5천994만원)보다 46%나 많았다.?
    ?
    지난해 가구의 평균 소득은 4천676만원으로 전년대비 4.4% 증가했다.

    같은 기간 가구지출(3천151만원) 중 소비지출은 2천307만원으로 1년 전보다 0.2% 증가하는데 그쳤다. 소득은 늘었지만 미래에 대한 불안이나 대출 상환 등으로 소비에 쓰는 돈은 변함이 없는 것이다.?
    ?
    공적연금이나 사회보험료 등이 포함된 비소비지출은 844만원으로 1.9%나 증가해 대조를 이뤘다.?
    ?
    가계소득이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빈곤인구는 16.4%를 기록했다. 6명 중 1명이 빈곤하다는 의미다.?
    ?
    특히 은퇴 연령층 가구의 빈곤율은 53.1%에 달했다. 가구 내 취업자가 없는 경우 빈곤율은 75.9%로 취업자가 있는 경우의 34.9%와 상당한 격차를 보였다.

    가구주의 예상 은퇴 연령은 66.2세였지만 실제 은퇴 연령은 61.3세로 은퇴 시기가 예상보다 5년 빠른 것으로 분석됐다.?연합뉴스

    aa.jpg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