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5월 08일 (수)
전체메뉴

도내 응급실 환자 절반 이상이 ‘경증’

  • 기사입력 : 2023-06-18 20:52:54
  •   
  • 즉각 처치 필요한 중증은 10%도 안돼
    구급대원이 응급 확인 후 이송하는
    ‘중증도 분류시스템’ 마련중이지만
    대부분 자차 등 이용해 대안 요구
    의료계 “경증환자 내원 억제책 필요”


    속보= 응급실을 제때 찾지 못한 환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연이어 발생해 응급 전문의와 병상 부족 해결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경증환자로 응급실 과밀화가 심화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남의 경우 응급실을 내원하는 경증 환자의 비율은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13일 1면  ▲반복되는 ‘응급실 뺑뺑이’ 막을 방법 없나 )

    ◇경남 응급실 내원환자 ‘경증’ 절반 이상= 국립중앙의료원의 2021년 통계연보에 따르면 경남에서 응급실을 내원하는 환자 절반 이상이 경증 환자였다.

    우리나라는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를 통해 응급환자의 중증도, 치료 우선순위 등을 구분하고 있다. 1~5등급까지 있으며 통상 1~2등급은 중증 환자군으로, 3등급은 중증의심 환자군으로, 4~5등급은 경증 환자군으로 구분한다. 경남에서 응급실을 내원한 전체 21만7061건 중 가장 많은 유형은 4등급으로 전체 44.5%(9만6491건)를 차지했다. 5등급인 10.4%(2만2532건)을 포함하면 54.9%가 ‘경증’ 수준이다. 이어 3등급은 36.3%(7만8713건), 2등급은 7.1%(1만5390건), 1등급은 1.8%(3916건)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국에서 4~5등급 환자가 내원하는 비율은 51%로 경남의 경증환자 응급실 내원 비율이 4%p가량 더 높다.


    이처럼 경증 환자의 응급실 내원 비율이 높은 상황에 응급환자가 응급실을 찾지 못해 떠도는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가 반복되자 보건복지부는 응급환자 발생 시 구급대원이 중증도 분류를 할 수 있는 프리케이타스(Pre-KTAS)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다. 구급대원이 환자의 응급도를 확인하고 중증응급의료센터, 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실로 분류해 이송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응급실을 내원하는 경증환자들이 구급차보다 가족과 지인 차나 자가용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더 많아 추가적인 대안도 요구되고 있다.

    경남의 응급실 내원 수단 전체 21만7061건 중 자가용 차를 포함한 ‘기타 자동차’가 16만590건으로 74%를 차지했다. 이어 ‘119구급차’가 20%(4만3554건)로 뒤를 이었고 병원 간 이송에 사용되는 사설 구급차가 포함된 ‘기타 구급차’(4.8%), 의료기관 구급차(0.5%) 등이었다. 자차 등을 이용해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들 대부분은 경증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자동차’에서는 KTAS 4~5등급이 63.4%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3등급은 32%, 1~2등급은 4.4%에 불과했다. 반면, 119구급차를 이용하는 환자는 KTAS 3등급이 45.6%로 가장 많았고, 이어 4~5등급이 34.3%, 1~2등급이 20.1% 순이었다. 중증 환자가 가장 많은 이송은 사설 구급차가 포함된 ‘기타 구급차’로 1~2등급이 30%, 3등급이 55.7%, 4~5등급이 13.9%였다.

    ◇경증환자 줄일 해결방안 마련해야= 응급실 과밀화를 해소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경증환자 당사자의 판단이다. 이를 위해 중앙응급의료센터 소속 경남응급의료지원센터 관계자는 “경증환자의 내원으로 인한 응급실 과밀화를 해소하기 위해 복지부와 중앙응급의료센터가 대국민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자가 분류 앱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증상별로 항목을 체크하며 응급실을 가거나 구급차를 부를 상황인지 판단을 돕겠다는 취지다. 해외에서는 영국과 캐나다, 일본 등에서 응급실 방문 이전, 자가 분류에 대한 시스템이 구축돼 있다.

    반면, 지역 의료계에서는 경증 환자를 억제할 수 있는 강제력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경남 응급의료기관의 전문의 A씨는 “응급실을 찾는 가장 많은 증상이 복통이고 그 다음이 발열이다. 넘어지거나 베이거나 해서 상처가 난 사람들도 응급실을 많이 찾는다”며 “현실적으로 당장 아프다고 하는 사람을 외래로 돌리기 힘든 상황이다. (외래로 돌리면)엄청난 컴플레인이 예상된다”고 현장을 설명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보험이 잘돼 있어 응급실 비용 자체가 많이 나오지 않아 그 접근성이 너무 좋다. 하지만 의료인력과 병상이 부족한 현실에서는 좋은 시스템이라 하기 힘들다”며 “지역의 기관급 응급의료기관은 어쩔 수 없더라도 중증환자를 도맡는 권역응급의료센터 등에는 경증 환자 내원을 억제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남의 권역응급의료센터는 경상국립대학교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3곳이다.

    어태희 기자 ttotto@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어태희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