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5월 06일 (월)
전체메뉴

솟아오르는 지역이슈 ‘송전선로 지중화’

밀양·창원 등 주민 요구 잇따라
도내 지중화비율 5~10% 수준
밀양 765kV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

  • 기사입력 : 2013-10-16 11:00:00
  •   


  • 송전선로의 지중화 요구가 거세다. 경남에서는 밀양 765kV 송전탑뿐만 아니라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영동 154kV 송전탑 건설 과정에서도 이 같은 요구가 분출되고 있다. 밀양 송전탑 건설 공사가 지난 2일 재개돼 2주일이 지났지만 송전선로 지중화 논란은 여전히 뜨거운 감자다.

    ◆실태= 도내 전체 지중화 비율은 5~10% 수준이다.

    한국전력 경남본부가 지난해 6월 발표한 경남 지중화 비율에 따르면 김해·양산을 제외한 도내 지중화 비율은 6.25%였다. 창원지역이 32.5%로 가장 높고 마산지역 11.64%, 진해지역 9.44%, 통영 9.11%, 진주 6.74% 순이었다. 농지가 상대적으로 많은 의령·하동·창녕·거창 등은 2% 미만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내 전선 지중화율은 14% 수준이고, 서울시는 50% 이상에 이른다.

    ◆창원 상황= 한전은 지난 8월 창원시에 서마산 일대 안정적 전력공급을 목표로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영동 밤밭고개 일대에 154kV 송전탑 5기의 건설허가를 신청했다. 주민들은 1인 시위 등 방식으로 반대, 지중화 등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창원시는 당시 한전에 지중화를 권고하고 개별보상 등에 대한 주민동의가 없이는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창원시 의창구 창원사격장 진입로 메타세쿼이아길은 지난해 6월 한전의 무분별한 가지치기로 빈축을 샀다. 논란이 일자 한전 경남본부는 일대 900m 구간에 사업비 6억 원을 들여 전주 28개를 철거하는 등 지중화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한발 물러섰다.

    앞서 이명박 정부 때 대불공단으로 촉발된 규제개혁을 대표하는 일명 ‘전봇대 뽑기’가 주요 정책으로 제시되면서 창원시와 한전이 비용을 50%씩 부담, 지난 2008년 5월 창원산업단지 공단 내 창원시 성산구 신촌동 창곡 삼거리~두산중공업 입구 7km 구간에 전선을 지중화했다.

    ◆밀양 상황= 갈등이 일고 있는 밀양 765kV 송전탑 공사의 대안으로 지중화가 제기되고 있지만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하다. 전선과 전선 사이에 합선·스파크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땅 밑으로 송전할 경우 전력 손실도 우려된다. 현재 국내 기술로는 500kV급 송전선로 지중화가 완료단계에 있다.

    전압을 345kV로 낮춰 지중화하는 대안이 있지만, 한전과 반대 측 입장은 출발부터 다르다.

    한전은 밀양시 단장면~부북면 37km 구간에 변전소를 설치, 전압을 낮춰 지중화하는데 공사기간은 최소 12년, 비용은 2조7000억 원이 든다고 주장한다. 당초 송전용량이 765kV이기 때문에 345kV로 낮추면 여러 가닥의 전선으로 분산 송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타 지역과 밀양의 형평성 문제도 부담이다.

    이에 대해 765kV 송전탑 건설반대대책위는 전력이 생산되는 신고리 원전에서부터 345kV로 송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변전소 건설과 주민보상에 드는 비용이 크게 줄어 밀양지역 지중화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반대대책위는 따라서 TV토론에서 지중화를 포함한 대안을 찾자고 주장했다. 그러나 한전은 이미 수차례 토론이 진행됐다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정치섭 기자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정치섭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