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5월 06일 (월)
전체메뉴

인접한 대지 묶어 낙후지역 정비한다

국토부 ‘집단적 건축협정 지정제도’ 도입 추진
건폐율 등 혜택에 ‘소규모 정비사업’ 촉진 기대

  • 기사입력 : 2016-08-31 07:00:00
  •   

  • 땅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인접한 여러 대지를 묶어 하나의 대지처럼 개발할 수 있도록 해주는 건축협정을 활용해 낙후지역을 정비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토부는 ‘집단적 건축협정 도입 및 건축협정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연구용역’을 발주하고, 건축협정지역 지정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방법·절차·지정조건·법적근거 등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건축협정은 땅·건물 등의 소유자가 협정을 체결하면 서로 붙어 있는 2개 이상의 필지를 하나의 대지로 간주해 건축물을 신축·수선·리모델링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다. 건축법에 규정된 각종 건축기준도 완화해 적용하거나 배제해준다.

    특히 건축협정을 맺으면 땅·건물 소유자들은 각자의 소유권을 유지하면서 도로와 인접한 땅 등 개발하기 쉬운 토지와 너무 작거나 도로와 접하지 않아 단독개발이 어려운 토지를 묶어서 함께 개발할 수 있다.

    건폐율은 하나의 대지처럼 적용받게 된다. 조경·계단·부설주차장·우편함·하수처리시설 등 건물을 지을 때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시설도 한 곳에 통합해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재작년 도입된 건축협정을 활용한 사례는 아직 많지 않다.

    지난해 국토부는 전국 6곳에서 건축협정 시범사업을 벌였으나 실제 개발이 진행된 곳은 3곳뿐이다. 나머지는 협정만 맺었거나 사업을 포기했다.

    건축도시공간연구소가 지난 3월 국토부에 제출한 보고서를 보면 민간영역에서 자발적으로 기획·추진되는 건축협정도 전국적으로 20여 건에 불과했다.

    이해관계가 서로 다른 땅·건물 소유자들이 각자의 땅·건물을 하나로 묶어 개발하기로 합의하기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건축협정을 맺을 수 있는 지역도 제한됐기 때문이다. 이번에 국토부가 건축협정지역 지정제도를 도입하려는 것도 현재 건축협정이 가능한 지역 외의 다른 지역도 지자체장이 건축협정지역으로 지정해 건축협정을 맺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상지역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국토부 관계자는 “그간 대규모 정비사업이 추진됐다가 취소된 지역들은 대체로 별다른 후속조치가 없이 방치됐었다”면서 “건폐율과 건축기준 등에서 여러 혜택이 있는 건축협정을 잘 활용하면 뜻이 맞는 사람끼리 쉽게 소규모로 정비사업을 벌일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조윤제 기자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조윤제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